• 핫뉴스
  • 문화·스포츠
  • 코로나19
  • 이민·유학
  • 부동산
  • 자동차
  • English News
  • 오피니언
  • 게시판
  • 업소록
  • 맛집 가이드
  • 광고/구독 문의
  • 기사제보
  • 신문 재배송 요청
  •     Tel: (416) 787-1111
  •     Email: public@koreatimes.net
  • LOGIN
  • CONTACT
  • briefing
  • briefing
  • LOGIN
  • CONTACT
  • 기사제보
  • 광고/구독
  • HotNews 온주 자택대기령 곳곳서 엇박자
  • HotNews 한인 태권도사범 성폭행 유죄
  • HotNews 캐슬뷰 입주자 접종률 90%
  • HotNews "불법선거 대신 진짜 선거 해야"
  • HotNews 해외서 체포…공관도움 범위는?
  • Covid19 온주, 다시 2천명대로 줄어
  • HotNews 코로나 사태가 차값 올려
  • HotNews 부음 황정일씨
  • Covid19 1∼2차 접종간격 6주까지
koreatimes logo
  • 유니온마케팅
  • 핫뉴스
  • 문화·스포츠
  • 주간한국
  • 이민·유학
  • 부동산
  • 자동차
  • 오피니언
  • 게시판
  • 업소록

Home / 주간한국

소음 노화 앞당기고 번식에도 악영향



  • 캐나다 한국일보 (public@koreatimes.net) --
  • 10 Mar 2020 10:50 PM

‘듣지 않을 권리’를 잃어버린 결과


p41.jpg

▲ 소음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인간 활동의 부산물인 소음으로 인해 인류뿐 아니라, 동ㆍ식물도‘ 듣지 않을 권리’ 를 잃어버렸다.

국제 학술지‘ 동물학의 경계’(Frontiers in Zoology)에는 소음이 조류의 노화를 앞당긴다는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와 미국 노스다코타주립대 공동 연구진의 연구결과가 실렸다. 연구진은 금화조를 교배시켜 얻은 263마리의 새끼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 소음에 노출된 부모에게서 태어났지만 부화 후 교통 소음을 들은 적이 없는 새끼 95마리.

▦ 알에서 나온 뒤 노래를 배우는 시기(생후 18~120일)에 지속해서 교통 소음에 노출된 새끼 59마리.

▦ 부모는 물론, 부화 후에도 소음을 들은 적 없는 새끼 109마리가 대상이다. 

금화조가 노출된 교통 소음 세기는 낮 (오전 6시 30분 ~ 오후 8시 30분)에는 65~85㏈, 밤(오후 8시 30분 ~ 다음 날 오전 6시 30분)엔 45~75㏈이었다. 

이들 세 분류의 DNA를 비교한 결과, 생후 18~120일 사이 소음에 노출된 금화조의 텔로미어(염색체의 말단) 길이가 나머지 두 집단보다 더 짧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도시 소음이 노화를 촉진한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텔로미어는 유전정보인 DNA를 담고 있는 염색체의 가장 마지막에 있으면서, DNA가 온전히 복제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분이다. DNA는 아데닌(A)과 구아닌(G), 시토신(C), 티민(T)이란 네 가지 염기로 이뤄져 있다. 예를 들어 염기서열 AGGCT를 복제 효소가 복제한다고 할 때 맨 마지막에 위치한 T염기 뒤엔 또 다른 염기가 없어 복제효소가 T염기를 지나갈 수 없다. T염기를 복제할 수 없단 뜻이다.

하지만 이들 염기 뒤에 텔로미어가 붙어 있으면 마지막 염기까지 완벽히 복제할 수 있다. 같은 이유로 복제가 이뤄질 때마다 텔로미어 길이는 짧아진다. 그러다 텔로미어가 특정 지점보다 짧아지면 더 이상 복제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세포는 죽게 된다. 교통 소음이 금화조의 텔로미 어 길이를 더욱 빨리 짧게 해 세포의 죽음을 불러오고, 결국 노화도 앞당긴다는 의미이다. 

 

소음은 번식과 생장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앞서 2009년 미국 콜로라도주립대 연구진은 “소음이 생물 다양성을 위협하고 있다”라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생태와 진화의 경향’에 발표했다. 민감한 청력을 갖도록 진화한 동물들이 점차 커지고 있는 소음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어서다.

연구진은 “소음으로 회색 청개구리는 짝을 찾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렸고, 유럽 청개구리는 짝을 부르는 소리를 덜 내게 됐다”라며“ 소음은 이들 동물의 번식력을 떨어트릴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전ㆍ가스전 일대에 서식하는 새들의 경우 구애 울음소리가 변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10~2만㎐(헤르츠) 사이의 수중 소음을 발생시켰을 때 굴이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살핀 프랑스 보드로대 연구진의 연구결과에선 소리 주파수가 10~1,000㎐일 때 굴이 껍데기를 재빨리 닫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파수 영역은 화물선 소음이 속한 10~200㎐였다. 소음으로 껍데기를 자주 닫게 되면 먹이 활동을 하지 못해 제대로 자라기 어렵다. 

무척추동물인 굴뿐 아니라 식물에도 소음은 중요한 변수다. 미국 국립진화종합센터 연구진은 2007~2010년 천연가스 채굴 지역과 가까운 멕시코 북서부 래틀스네이크 캐니언 야생동식물 보호 지구에 서 소음이 나무 번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폈다.

그 결과 산업 소음으로 시끄러운 곳보단 영향이 덜한 지역의 미국 잣나무 개체 수가 4배 더 많았다. 미국 잣나무는 바람에 떨어진 열매를 동물이 섭취하게 해 이곳저곳에 싹을 틔우도록 하는데, 소음이 심한 곳에선 야생 들쥐가 열매를 먹고 소화해 번식이 어려웠다.

반면 소음이 덜한 지역에서는 조류인 어치가 잣나무 열매를 주로 먹었다. 어치는 나중에 먹기 위해 열매를 땅 속에 묻는 습성이 있다. 어치가 열매 묻은 자리를 찾지 못해 조용한 지역에선 잣나무가 더욱 번성하게 됐다는 얘기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2012년 생물학 학술지‘ 영국 왕립학술원 생물학회보B’ 에 발표한 연구진은“ 잣나무 수가 감소하면 잣나무 숲에 의지해 사는 곤충과 다른 동ㆍ식물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라며 산림생태계 변화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댓글을 달아주세요

댓글운영원칙
'댓글'은 기사 및 게시글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온라인 독자들이 있어 건전한 인터넷 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 원칙을 적용합니다.

1. 댓글삭제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 하겠습니다.
  1. 1) 타인에 대한 욕설 또는 비판
  2. 2) 인신공격 또는 명예훼손
  3. 3) 개인정보 유출 또는 사생활 침해
  4. 4) 음란성 내용 또는 음란물 링크
  5. 5) 상업적 광고 또는 사이트/홈피 홍보
  6. 6) 불법정보 유출
  7. 7) 같은 내용의 반복(도배)
  8. 8) 지역감정 조장
  9. 9) 폭력 또는 사행심 조장
  10. 10) 신고가 3번 이상 접수될 경우
  11. 11) 기타 기사 내용과 관계없는 내용

2. 권한제한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 드립니다.

아래의 기사를 추천합니다

기사제목 작성일
# 인형의 집 11 Mar 2020
공개하기 민망한 병 10 Mar 2020
소음 노화 앞당기고 번식에도 악영향 10 Mar 2020
우유는 유방암을 예방한다 vs 촉진한다 09 Mar 2020
노바 스코샤주가 원하는 기술직 이민 08 Mar 2020
백두산 폭발하고 식인 바이러스 돌 때 생기는 일들 02 Mar 2020

카테고리 기사

p44_3.jpg
W

갱티고개 노래방 여주인 살인사건 (하)

12 Jan 2021    0    0    0
p40_1.jpg
W

릴라 캐봇 페리

12 Jan 2021    0    0    0
p35_1.jpg
W

암살자들 Assassins

12 Jan 2021    0    0    0
p31_1.jpg
W

새해 건강한 습관, 굿모닝 스트레칭으로 상쾌한 하루 열기!

12 Jan 2021    0    0    0
p36.jpg
W

평생 되씹으며 트루만과 군 수뇌부 비난

12 Jan 2021    0    0    0
p29_2.jpg
W

랑콤의 뮤즈 이사벨라 로셀리니

12 Jan 2021    0    0    0


Video AD


추천 동영상 기사

더보기

홈페이지용.jpg

나긋나긋 뉴스(1월12일)

12 Jan 2021
홈페이지용01.jpg

나긋나긋 뉴스(12월29일)

29 Dec 2020
홈페이지용.jpg

나긋나긋 뉴스(12월11일)

11 Dec 2020


이메일 구독하기

주요뉴스를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오늘의 트윗

02_thomas_jefferson_3x4.jpg
Opinion
아침이면 대문 앞에 놓인 신문
15 Jan 2021
0



  • 인기 기사
  • 많이 본 기사

1코로나가족_김씨_01.jpg
HotNews

"코로나가족 돕겠다" 온정 봇물

12 Jan 2021
0
image-jpg.jpg
HotNews

남편 몸에 개줄 묶고 산책하다 벌금

12 Jan 2021
0
winter.jpg
HotNews

온주에 '북극 한파' 온다

12 Jan 2021
0
2연방총독상_김호준.jpg
HotNews

한인학생 연방총독상 받아

12 Jan 2021
0
4코로나_봉쇄.jpg
HotNews

온타리오주 2차 긴급사태 선포

12 Jan 2021
2
1cerb지원금.jpg
HotNews

국세청 CERB 오류 인정

21 Dec 2020
0
1코로나_험버리버병원_복도.jpg
HotNews

한인가족 5명 코로나와 사투

11 Jan 2021
3
4월마트라인업.jpg
HotNews

세상에 이런 연말연시도 있나

21 Dec 2020
0


12 Morgan Ave. Suite 200, Thornhill, ON. L3T 1R1
Tel : (416)787-1111
Fax : (416)781-8434
Email : public@koreatimes.net

광고문의(Advertising) : ad@koreatimes.net

캐나다 한국일보

  • 신문 재배송 요청
  • 찾아오시 는 길
  • 기사제보
  • 광고/구독 문의

인기 카테고리

  • 핫뉴스
  • 이민·유학
  • 부동산
  • 주간한국

연관 사이트

  • 토론토 총영사관
  • 몬트리올 총영사관
  • 벤쿠버 총영사관
  • 캐나다 한국대사관
  • KOTRA

The Korea Times Daily 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The Korea Times Dail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