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이민·유학
2020 새 이민 프로그램 2020 (3)
(New programs for 2020: RNIP, AIPP, OINP RIP, AFIP)
- 캐나다 한국일보 (public@koreatimes.net) --
- 31 Mar 2020 03:33 PM
Q: 원저에서는 토론토나 런던과 같이 규모가 큰 회사를 찾지 못하고 있다. 특히 OINP의 회사 조건 중 하나인 년 50만불 이상의 매출을 올리는 회사를 찾기가 쉽지 않은 사정이다. 저의 상황을 고려했을때 2020년에 이민을 신청하려면 어떤 점에 주목 해야 하나?
A: OINP RIP (Regional immigration pilot by OINP)
캐나다 연방정부와 발 맞추어 온타리오 정부도 지방 중소도시의 인력수급과 지역 경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새로운 온타리오 주정부 프로그램은 2019년 12월에 발표했다. 이를 온타리오 지역 이민 임시 프로그램 (Regional immigration pilot)이라 한다. 2020년 초에 시작해 2년간 운영할 예정이다.
그럼 잠시 한발짝 물러 나서 왜 이런 지역 중심 이민 프로그램들이 생겨나는지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분명한 이유(배경)가 있고, 2020년 뿐만 아니라 향후 이런 경향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주목해야 한다.
현재 연방정부를 구성하고 있는 자유당이 집권시 내건 이민 정책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다. 각 지역이 필요한 인재를 선발하고, 이를 수용하기 위한 이민 권한을 주정부에 부여하는 것이 현 정부의 방향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국가의 균형있는 발전은 모든 정부의 과제이다.
이에 반해 현재 캐나다는 광할한 국토에 비해 인구는 대도시로 집중된 상황이다. 따라서 이 두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더욱 더 주정부 이민을 활성화하거나, 인력이 부족한 지역에 중점을 두는 연방 이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2019년 캐나다 연방정부는 신규 이민자 목표인 330,800명을 채웠다. 2021년 신규 이민자 유치 목표는 350,000명으로 계획을 세우고 있다. 캐나다 전체의 균형있는 발전과 안정적인 인력 수급을 통한 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 기반을 둔 이민 트렌드는 계속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지방 중소도시를 공략하는 이민 전략을 짜서 2020년에는 이민 성공을 이루시기 바란다.
이재인 법무사
ICCRC 이민 컨설턴트
jlimmigrationca@gmail.com
Tel: (416) 803 8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