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핫뉴스
코로나 변이, 대유행 새 불씨되나
"남아공변종, 백신 소용 없을수도"
- 캐나다 한국일보 (editorial@koreatimes.net) --
- 23 Jan 2021 05:14 PM
'북미 변이바이러스 최대 번식지' 경고음
변이바이러스가 새로운 대유행을 일으키는 불씨가 될 수 있다는 경고음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북미지역이 코로나 변이의 온상이 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캐나다에도 변이바이러스가 발견된 만큼 변종에 의한 코로나19 재확산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것.
현재 접종 중인 모더나·화이자 백신이 '남아공 변이바이러스'를 막지 못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불길한 분석도 있다.
뉴욕타임스는 23일 "코로나 감염 사례가 감소하고 있으나 전파력이 강한 변이 바이러스가 백신 접종 속도를 앞지르면서 새로운 환자 급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워싱턴포스트도 "지난해 크리스마스와 신년 모임에 따른 최악의 코로나 확산 시나리오는 피한 것으로 보이지만 전문가들은 새로운 변이의 출현과 함께 코로나 위협이 심화할 수 있음을 경고했다"고 전했다.
미 존스홉킨스대학에 따르면 23일 기준 미국의 신규 감염자는 18만6천여명으로 수 주째 20만명을 상회하던 것에서 내려왔다. NYT도 자체 집계 결과, 신규 확진자 수가 지난 2주 동안 21% 줄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전파력이 강한 영국·남아공발 변이 바이러스 확산은 심상치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영국발 변이 등이 현재 22개 주(州)로 번졌고, 전체 감염자는 195명으로 늘었다. 코로나 누적 환자가 300만명을 넘긴 캘리포니아에서 72명의 영국발 변이 감염자가 나왔다. 이어 플로리다에선 50명, 뉴욕에서도 22명의 변이 감염자가 확인됐다.
존스홉킨스대 공중보건대학원의 케이틀린 리버스 박사는 "코로나 감염이 하향 곡선을 그리지만, 변이 바이러스가 2∼3월에 되돌려놓을 수 있다"고 경고했고, 워싱턴대 보건계량분석연구소의 크리스토퍼 머레이 소장은 "변이 바이러스가 상황을 완전히 바꿀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 소장도 지난 21일 백악관 브리핑에서 코로나 감염 건수가 정체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일시적인 둔화일 수도 있다면서 변이 바이러스 확산 가능성을 지적했다.여전히 매일 10만명 이상 신규 환자가 쏟아지는 상황에서 확인만 안 됐을 뿐 새로운 변이가 여기저기서 발생했을 것이라는 추정이다.
존스홉킨스대 로버트 블링어 감염병학 교수는 "북미지역은 현재 새로운 변이가 나올 수 있는 가장 큰 번식지"라며 바이러스 감염 경로를 추적하고 확산을 억제할 수 있는 더 많은 조치를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영국의 백신 태스크포스팀 소속 존 벨 박사는 최근 "영국발 변이 보다 남아공발 변이를 조금 더 걱정"이라고 우려했다.
"남아공발 변이 바이러스의 형태는 단백질 구조에 실질적인 변화가 일어났다"라며 "바이러스의 총량의 증가는 전염성의 상승 밀접한 관련이 있다. 남아공발 변이의 경우, 새로 개발된 백신으로 예방이 통하지 않을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