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주간한국
의료 및 헬스케어 산업
맞춤형으로 바뀌고 정확도 높아져
-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
- May 12 2022 10:32 AM
▣의료 및 헬스케어 산업에 블록체인 활용 배경
1) 의료·헬스케어 분야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개인의 의료정보 활용을 촉진하는 방안들이 부각되고 있으며, 기술 적용을 통해 의료정보의 보안성 및 투명성을 확보하고 진단 및 치료의 정확도 향상 등 의료 정보 교류가 확대되고 있다.
2) 기존 의료정보 시스템은 의료기관 중심의 운영과 분절된 중앙 집중형 데이터 관리 체계로 인해 제한적이었고, 정보 관리 측면에서도 신뢰성 보장 불가 및 투명성의 저하 문제가 있었다.
3) 하지만 블록체인 기술의 의료분야 적용으로 개인의 의료기록에 대한 주권이 각 개인에게 주어져 의료정보의 활용 범위 및 활용 여부를 스스로 설정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료의 질 향상을 기대할 수게 되었다.
▣ 의료 및 헬스케어 적용 현황
1) 현재 보편적인 사업 구조는 병원이 데이터 제공 동의 여부를 거친 뒤 플랫폼에 직접 진료 데이터를 입력하고, 환자에게 보상을 제공한다. 플랫폼은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단 및 치료의 정확도가 향상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맞춤형 의료 서비스의 발전으로 이어지고 있다.
2) 특히,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발전으로 실시간 수집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들이 탄생하고 있으며, 이는 보험사에서 피트니스사까지 서비스 범위가 넓혀지고 있다. 향후에는 블록체인 기술이 산업 전반에 활용됨에 따라 환자 중심의 의료 실현과 공공성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의료 산업에서 암호화폐는 결제 수단, 인프라 접근 권한, 투표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다.
▣ 의료 데이터 관리 사례
1) 빅데이터 분석 : 진료받은 환자 또는 제휴 병원은 개인정보 동의 하에 진료 데이터를 플랫폼에 업로드한다. 플랫폼은 데이터 업로드에 대한 보상을 암호화폐로 제공한다. 블록체인에 기록된 의료데이터는 어떤 데이터보다 신뢰도를 갖게 되며, 환자는 언제든지 자신의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다. 의료 서비스 제공사는 암호화폐를 통해 진료 데이터에 접근하여 환자 중심의 맞춤형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환자는 보상받은 암호화폐를 지불하여 의료 서비스를 소비한다.
2) 의료, 건강 콘텐츠 공유 : 자신의 라이프 스타일 및 치료 기록을 커뮤니티에 업로드한다. 또는 자신이 받은 의료 서비스에 대한 리뷰를 플랫폼 유저들과 공유한다. 유저들의 공감을 이끈 콘텐츠일수록 높은 암호화폐 보상을 획득한다.
▣ 의약품 공급망 관리 사례
통합 인프라 제공 : 블록체인 인프라가 구축되면 의약품 관련 라이선스를 취득하여 정품 인증에 대한 프로세스를 처리하며, 제약회사는 인프라 제공사에게 의약품 정품 인증을 허가받고 유통 체인 참여자에게 의약품을 전달한다. 유통 체인은 인프라 제공사에 정품 인증 데이터를 제공하고, 유통 체인 참여자는 의약품 유통 데이터를 전송한 후 소비자는 인프라 제공사를 통해 정품 인증을 확인한다.
www.koreatimes.net/주간한국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