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주간한국
우병선의 ‘블록체인 리포트’ [11]
블록체인이 다 한다
-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
- May 19 2022 09:58 AM
물류 및 유통산업에서의 활용
▲ 물류 산업에서는 사물인터넷을 통해 공급망의 가시성을 높이고 물류 흐름 관리, 위치 추적 그리고 경로 최적화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고 있다.
물류 및 유통산업에서
블록체인을 활용하게 된 배경
1) 물류·유통 분야에 블록체인을 활용하면 서류, 행정 처리 비용과 처리 시간을 효율성 있게 관리할 수 있다. 가령 공급 체인의 주요 참여자인 송하인, 포워더, 세관원, 수하인 등은 블록체인으로 문서를 공유하면 어느 기관에서든 현 상태를 빨리 파악할 수 있다.
2) 이러한 정보는 물류·유통 과정에 참여하는 모두가 투명하게 공유할 수 있어 one-stop으로 투명한 정보 수집 및 비교가 가능하다. 다만, 이와 같은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사물인터넷, 센서, 보안 식별, 데이터 관리 기술 등 자동화 시스템 도입이 선행되어야 한다.
3) 물류 산업에서는 사물인터넷을 통해 공급망의 가시성을 높이고 물류 흐름 관리, 위치 추적 그리고 경로 최적화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고 있다. 또한, 이렇게 연결된 기기에서 얻은 데이터를 활용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도 등장한다. 플랫폼 토큰 설정을 통해 글로벌 유저 확보 및 결제 시스템 확장이 가능하며 나아가 플랫폼 내·외부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에 대한 마켓을 별도로 구축할 수 있다.
물류 및 유통산업 적용 현황
1) 물류시장의 실질적인 수요 창출은 최종 구매자임에도 불구하고, 물류 시장은 화주, 물류 사업자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주, 물류 사업자는 물동량, 운임비 등의 통제된 정보를 바탕으로 운송 비용과 노선의 결정권을 행사하고 있다.
2) 최근에는 블록체인 접목으로 최종 수취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폐쇄적인 시장 구조 개선을 목적으로 한 다양한 프로젝트들이 등장하고 있다. 삼성SDS와 같은 기존 플레이어는 지체 Ledger 개발 후 컨소시엄을 시행하고 있다.
3) 화주 및 물류업자는 해당 컨소시엄에 가입 후 인프라 비용 부담만으로 관련 파트너십과 블록체인 접목으로 인한 이점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산업 환경의 특성상 물류 산업은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확대될 것으로 판단되며, 유통 물류 산업에서 암호화폐는 결제 수단(Payment), 인프라 접근 권한(Permission)으로 활용된다.
컨테이너 실시간 위치 추적
사물인터넷 솔루션을 통해서 실시간 컨테이너 위치 추적 및 업체 사용 블록체인으로 선사·운영사·운송사 간 정보를 교환하며, 사물인터넷 센서를 부착해 중앙통제센터를 통한 모니터링으로 실시간 온도, 신선식품의 화물 추적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한다.
사물인터넷 기술로 경로 최적화를 위한 실시간 데이터 분석, 운송 시간 단축, 온도조절 등이 가능해졌고 물품의 신선도 유지와 실시간 화물 추적을 통해 물류의 신뢰성을 높였다.
물류정보 관리와
화물이력 데이터관리 사례
화주와 물류 사업자는 물류 프로세스에 참가하기 위해 배송정보 데이터를 입력한다. 플랫폼에 제공하는 데이터 양과 비례해서 보상을 지급받는다. 물류 사업자는 물류 데이터 공유 및 수취인의 서비스 평가에 따라 추가보상을 획득할 수 있다. 수취인은 배송 서비스 리뷰를 남긴 행위에 대한 보상으로 토큰 보상을 받을 수 있다. 그밖에도 물류 사업자는 배송 물량 우선, 배송비 우선 등의 옵션으로 우선 매칭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www.koreatimes.net/주간한국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