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부동산·재정
Whole Life 생명보험이란?
신호식의 재태크 맛집
-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
- Jun 30 2022 11:26 AM
Whole Life 보험은 종신 생명보험의 일종이다. WL 보험은 사망보험금에 대한 보장과 더불어 해약환급금이라는 별도의 현금가치가 적립되거나 보험사를 통한 배당금 지급 옵션의 혜택 등 부수적 혜택들이 순수 생명보험 부분 외에도 더 포함되는 것이 특징이다.
종신 생명보험 종류
종신 생명보험(Permanent Life or Lifetime Guaranteed)은 보험회사와 보험 계약자(Policy Owner)간에 종신으로 맺게 되는 생명보험으로 크게 세 가지 종류다.
최저 납입 고정 종신(Lifetime Guaranteed minimum Level Cost of Insurance)과 Whole Life 그리고 Universal Life 이다. 최저 납입 고정의 경우는 가장 기본적인 종신 생명보험 상품으로서 사망보험금에 대한 순수보험료(Cost of Insurance)에 대해서만 피보험자(Life Insured)가 사망하는 시점까지 보험료를 납부하여 보험계약을 보장받게 된다. 이 경우에는 현금가치 및 배당옵션과 같은 별도의 특약사항이 포함되지 않고, 생명보험의 주 계약이라 볼 수 있는 사망보험금 수령액에 중점을 두는 순수 종신 생명보험 계약이다.
반면에 WL의 경우에는 사망보험금에 대한 보장과 더불어 해약환급금이라는 별도의 현금가치가 적립되거나 보험사를 통한 배당금 지급 옵션 그리고 감액 완납 옵션과 같은 혜택을 선택하는 등 부수적 혜택들이 순수 생명보험 부분 외에도 더 포함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Universal Life는 순수 생명보험의 보장을 비롯하여 계약자의 필요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투자구좌 및 여러 특약사항들을 덧붙일 수 있는 다목적 보험상품이다.
Whole Life 생명보험
WL 생명보험은 종신 생명보험의 혜택을 비롯하여 현금 가치가 적립되는 해약환급 옵션과 배당옵션 그리고 감액완납 옵션과 같은 부수적 혜택을 선택할 수 있는 종신 생명보험 계약이다. 보험계약에 대한 보험료 납입기간은 상품마다 차이가 있지만 평생납, 10년, 15년 그리고 20년납 기준으로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10년, 15년 그리고 20년 납입과 같은 조기완납 옵션의 경우에는 해당 기간동안 보험료를 완전히 지불하게 된 후에는 더이상 보험료를 납입하지 않고 평생 보험계약을 보장받게 된다. 중도에 현금가치의 인출을 원할 경우에는 두 가지의 옵션 중 택일하는데, 첫째는 해약환급액(Cash Surrender Value)을 받으며 보험을 해지하게 되는 것이고, 둘째로는 현금가치(Cash Value)에 대한 일정부분을 담보로 자금을 융통할 수도 있다. 참고로 대출의 경우에는 융자금에 대한 이자가 지속적으로 부과되어 쌓이게 되는데 융자금을 오랜 기간 갚지 않을 경우에는 보험계약에 큰 손해를 입힐 수도 있고, 미상환 시에는 대출 잔액과 이자의 합계액에 따라 차후 피보험자 사망시 수혜자가 받게 되는 사망보험금에 대한 수령액을 현저히 감소시킨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Participating or Non-Participating
Whole Life 보험은 두 가지의 형태로 나눌 수가 있는데, 무배당(Non-Participating) 상품과 이익배당(Participating) 상품으로 나눈다. 특별히 Par 상품일 경우에는 보험사의 이익 정도에 따라 매해 잉여금의 일정부분을 분배하는 배당금 옵션의 자격이 주어지지만 배당금의 지급이 항상 보장되진 않는다. 배당금은 보험사의 연 실적에 따라 변동이 되며 회사의 이득 혹은 경영방침에 따라 배당금이 지급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해당 배당금은 계약자의 임의대로 현금으로 받을 수도 있고, 보험계약에 대한 보험료를 줄이거나 이자가 붙도록 그냥 놔둘 수도 있으며 또한 보험금을 증액시키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특정 혜택들은 절대 공짜가 아니고 해당 옵션들이 늘어날수록 계약자가 부담해야 하는 보험료 역시 그에 상응하는 비용이 든다.
WL 보험은 순수 생명보험 부분 외에도 특약사항들이 추가되는 상품으로 그에 대한 보험료가 순수 생명보험의 경우보다 현저하게 높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생명보험 상품은 부수 혜택이 많고 적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순수 생명보험 수령액에 대한 보장기간과 비용을 알아보는 것이 관건이다. 종신 생명보험의 주된 목적은 결국 자신이 아닌 다음 수혜자에게 비과세로 보험금을 수령하는 효과적인 상속에 있다. 따라서 생명보험은 주 계약 즉 순수 생명보험 보장 부분을 중점으로 두고 가입하는 것이 중요하며, 나중에 목돈을 받고자 하는 저축이나 투자의 목적이 있다면 생명보험 상품들 외에 정부의 지원 및 혜택을 동시에 받으며 효과적인 절세투자를 누릴 수 있는 대안적인 투자수단들을 함께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www.koreatimes.net/부동산·재정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