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주간한국
제작·판매계획 단계서 다양한 NFT 시장규모 고려해야
NFT제작 대상과 제작 가능 블록체인
-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
- Sep 22 2022 10:46 AM
NFT제작 대상과 제작 가능 블록체인
1) 일반 개인이 자신만의 NFT를 만들고 싶다면 NFT Marketplace (NFT 거래 가능시장) 블록체인을 결정하고, 토큰화할 대상인 컨텐츠를 준비한 후 제작비용 및 판매에 대한 사항도 총체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NFT 제작을 위해 선택할 수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은 많지만 제작후 판매까지를 생각한다면 큰 규모의 NFT 커뮤니티 형성여부도 의사결정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2) 일반적으로 NFT 세부 정보를 입력하고 디지털 아트나 파일을 업로드한 후 발행 수수료만 지불하게되면 제작은 완료되고, 제작한 NFT를 판매하고 싶다면 여러 NFT 마켓플레이스에도 빠르게 판매 등록을 할 수있다.
3) NFT를 발행하기 전에 반드시 고려할 사항은 세가지로서 첫째로는 대상 컨텐츠로서 본인이 부른 노래, 창작한 예술 작품 또는 기존에 댓가를 지불하고 보유중인 수집품 및 영상 등 이며, 둘째로는 선택한 블록체인 플랫폼 위에서 NFT를 발행(Minting)하는 발행 수수료를 지불할 수 있는 암호화폐와 셋째로는 NFT 제작을 마친 후에 만들어진 NFT 를 보관할 수 있는 암호화폐 지갑이다.
4) NFT를 발행할 때 선택할 수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은 다양하며 대표적으로 이더리움 네트워크는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을 제공하는 최초의 주요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가장 많은 제작이 현재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더리움 이외의 NFT 제작 및 상호 호환 가능한 블록체인 플랫폼으로는 Binance Smart Chain, Polkadot, Tron, Tezos, Solana 등이며, 오늘날 대부분의 NFT는 이더리움이나 BSC에 존재한다.
5) 최근 이더리움 블록체인 사용료인 가스 요금이 비싸지고 있어서 NFT를 발행하고 처리하는 비용이 상당히 많이 들게되어 바이낸스체인을 비롯한 이미 언급한 블록체인들이 떠오르고 있으며 해당 코인들의 가격 상승이유가 되고 있다. 추가로 고려할 사항은 해당 블록체인에서 제작한 NFT 를 판매할 수 있는 마켓플레이스 존재와 프로젝트가 유무이다.
ERC-20 표준과 ERC-721 표준의 비교
NFT 블록체인 표준 ERC-721
1) NFT 는 이더리움 블록체인 상에서 가장 많이 생성이 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이더리움 블록체인 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DAPP 은 대부분 ERC-20 표준을 따르고 있다. 하지만 ERC-20 표준은 ERC-20 토큰간에 상호 교환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NFT 의 대체불가 특성을 만들어 주는 표준은 바로 ERC-721을 따르기 때문이다.
2)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발행된 모든 토큰은 ERC-20이라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이 정하는 표준을 따라야 한다. 이 표준은 모든 이더리움 기반 토큰의 핵심 기능을 설명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디지털 자산을 ERC-20 토큰으로 분류하며 기존 암호화폐들 중 상당 부분이 이더리움 블록체인 상에서 ERC-20 표준을 따라서 발행되었다.
www.koreatimes.net/주간한국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