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핫뉴스
미주평통 ‘한반도 평화 컨퍼런스’ 관련 조사
보수단체들 반대성명...본국 사무처 경위파악
-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팀 (editorial@koreatimes.net)
- Nov 29 2022 01:40 PM
최광철 부의장 "정치사찰" 반발
최광철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미주부의장
【LA】 한국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평통)가 최근 최광철 미주부의장의 사퇴를 촉구하는 민원이 다수 제기됨에 따라 경위조사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최 미주부의장이 대표를 맡고 있으며 LA에도 회원이 많은 ‘미주민주참여포럼(KAPAC)'의 최근 활동이 현 윤석열 정부 정책 기조에 반한다는 일각의 주장에서부터 비롯됐다.
평통의 조사 착수에 대해 최 대표 및 KAPAC 관계자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일각에선 평통의 조사 착수가 이전 정권 인사 ‘물갈이’ 움직임이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평통 본국 사무처는 “최근 최 미주부의장 주도 하에 워싱턴DC에서 개최한 ‘한반도 평화 컨퍼런스’와 관련해 다수의 민원이 제기돼 당 사무처에서 관련 자문위원에 대해서 경위조사에 착수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러한 내용의 이메일이 이 행사에 참가한 미주 지역 평통 자문위원들에게 보내진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사무처는 이들 전원을 조사한다는 것인지는 정확히 밝히지 않았다.
관계자에 따르면 최 미주부의장이 대표를 맡고 있는 KAPAC이 이달 14일부터 사흘간 개최한 ‘한반도 평화 컨퍼런스’에는 미주 지역 평통 자문위원으로 활동하는 인사가 상당히 많이 참석한 가운데 LA 협의회 소속 자문위원도 일부 있었다.
앞서 동부 지역 한인 보수단체들은 이 ‘한반도 평화 컨퍼런스’와 관련해 반대 성명을 내고 시위를 벌였다.
관계자에 따르면 이 행사의 주요 의제 중 하나는 연방의회에 상정된 한반도 평화법안(HR 3446) 추진이었는데 이 법안은 한국전쟁 종전선언과 남북미 3자간 평화협정 체결을 촉구하는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지난 문재인 정권은 이를 지지했지만 현재 한국 여권은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다. 앞서 김석기 국민의힘 사무총장 겸 재외동포위원장은 “동포단체에서 종전선언과 평화협정 체결 등을 지지하고 촉구하는 행사를 준비한다는 소식이 들어와 매우 우려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한인 보수단체들은 이 법안이 한미 양국 외교전략과 배치돼 결국 한미 동맹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최 대표가 ▲‘한반도 평화법안(HR 3446)의 연방의회 통과를 위한 로비 ▲광고와 보도를 통한 종전 선언과 한반도 평화법안의 연방의회 통과 선동 ▲한국의 평화를 위한다는 명분으로 한국 정치에 개입 ▲미주 한인사회에 대한민국 반정부 정서를 심고 한미동맹에 흠집을 내는 행위 등을 하고 있다며 진상조사와 해촉을 요청하는 진정서를 본국 평통에 전달했다.
반면, 최 대표를 비롯한 KAPAC 관계자들은 그간 활동이 보수 단체들이 주장하는 것 만큼 문제될 것이 없으며, 이번 ‘한반도 평화 컨퍼런스’ 역시 평통과 관계없는 KAPAC 행사로 참석자들 역시 한반도 평화구축에 관심있는 개인 자격으로 참여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최광철 KPAC 대표는 “민주평통 사무처의 이메일 발송은 집회결사의 자유를 헌법가치로 하는 미국의 자유민주주의 체제에 대한 심각한 도전이며 미 시민권자 한인들에 대한 불법적 민간인 정치사찰 시도”라고 말했다.
평통 본국 사무처의 조사 착수에 대해 일각에선 이전 정권 인사 잘라내기 및 미주부의장 교체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최근 평통 주변에선 올 5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달라진 대북정책 기조에 맞게 자문위원들을 재편해야 한다는 취지의 주장이 잇따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 석동현 사무처장은 지난달 14일 취임식에서 “새 대통령의 국정철학과 통일정책, 대북정책 등 기조에 충실히 따르고, 그 자문에 응할 수 있는 사람들로 민주평통 자문위원들을 재편해 민주평통이 새 정부가 추구하는 자유의 가치와 평화통일 정책의 밑거름이 되도록 노력해야겠다”고 밝혔고, 이후 분과위원장 일부가 자리에서 물러났다.
그러나 평통 사무처는 민원 제기에 따른 사실관계를 조사할 뿐이라는 입장이었다.
www.koreatimes.net/핫뉴스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팀 (editorial@koreatime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