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주간한국
한국의 대표 메신저 카카오톡
시니어를 위한 디지털 가이드 북 Digital Guidebook for Seniors
-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
- Jan 29 2023 07:01 PM
디지털 소통 도구 <1>
어느 통계를 보니 한국인들이 스마트폰 이용 현황에서 전화 통화 다음으로 빈번하게 사용하는 것이 카카오톡이라고 합니다. 스마트폰을 갖고 있는 한국인 중 카카오톡은 거의 대부분 사용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개발사가 한국 회사이고 비교적 일찍 서비스를 시작하였기에 1등만 살아남는 SNS서비스의 특성상 한국인에게는 독점적 위치에 올랐다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카카오톡으로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1. 개인간의 대화
문자로 대화를 나누는 것은 물론 음성 통화, 화상 통화, 사진과 동영상 전송, 파일 전송도 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이 무료이고 지역 제한도 없습니다.
2. 그룹 채팅
동시에 여러 명이 한 방에 모여 서로 대화하고 정보를 나눌 수 있습니다. 사실상 인원제한도 없습니다. 따라서 가족 모임, 동창회, 선교회, 회사 부서 등 필요에 따라 만들고 참여할 수 있어 누구나 모임의 총무 역할을 카카오톡을 통해 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아직은 10명 제한이 있지만 다자간 화상 통화도 가능합니다.
3. 라이브 톡
그룹방에서 개인 방송도 가능합니다. 라이브 톡 기능을 실행하면 그 방의 멤버들에게 화상 방송이 가능하여 인사를 하거나 강좌를 진행하거나 이벤트 중계 등도 가능합니다.
4. 오픈 채팅 방
개인적인 친분을 중심으로 한 일반 그룹방과 달리 오픈 채팅 방은 관심사나 취미를 기반으로 그 어느 누구도 참여하여 함께 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몇 가지 장치가 있습니다.
5. 그 외 부가 서비스
카카오톡 서비스도 플랫폼 비즈니스를 지향하여 여러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카카오 뱅크나 카카오 택시 등 금융과 운송까지 진출했죠. 하지만 이 곳 캐나다에서는 부가서비스가 제한적입니다. 관련 법률과 현지 비즈니스와의 협업이 필요하기 때문이죠. 그럼에도 부가서비스는 앞으로도 계속 확대될 것이고 기능도 개선될 것이기 때문에 우리도 기대감을 갖고 지켜볼 수 있겠습니다.
카카오톡의 첫 화면입니다. 기능들이 많아 하단의 탭(Tab)으로 메뉴들을 구분하여 놓습니다.
① 설정(Setting) - 톱니바퀴 모양은 카카오톡 전체의 설정 메뉴입니다. 카테고리별로 정리가 되어 있으니 살펴보시면 좋겠습니다.
② 친구(Friends) – 카톡으로 연결된 친구들의 리스트를 보여줍니다. 참고로 친구 연결은 서로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으면 자동으로 됩니다.
③ 채팅(Chat) – 최근 대화한 목록들이 시간대별로 보여집니다. 이 탭을 눌러 최근에 온 대화를 읽을 수 있습니다.
④ 친구 찾기(Find) – 자동 연결된 친구 외, 친구 맺기 가능한 리스트를 보여주고 새롭게 친구를 찾고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안내합니다.
⑤ 통화 – 전화기 모양의 아이콘에서 알 수 있듯 최근 카톡 통화한 내역들을 보여줍니다.
⑥ 더 보기(More) – 그 외 부가 서비스와 추천 서비스를 모아 놓은 메뉴입니다.
하단 탭을 터치하면 상단 메뉴 화면과 본 화면도 구성이 달라집니다.
www.koreatimes.net/주간한국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