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핫뉴스
한국 5.18 민주혁명을 다시 본다(1)
광주시위 한국의 민주화에 큰 공헌
- 김명규 발행인 (publisher@koreatimes.net)
- May 19 2023 03:07 PM
행불자 포함 617명의 생명 헛되지 않아
◆1980년 5.18 당시 광주에서 계엄군이 길바닥에 쓰러진 시민을 비인간적으로 끌고가자 옆에 있던 외국 기자들이 비디오 촬영을 하고 있다.
5.18 광주 민주화운동은 군사정권 전두환 대통령의 독재체제에 대한 국민의 불만과 민주화 요구를 반영한 학생과 시민들의 대규모 시위로 시작됐다.
배경은 1979년 10월에 발생한 박정희 대통령의 암살사건이다. 그가 암살되면서 국내 정치상황이 불안정한 틈을 타 전두환 장군은 쿠데타를 통해 권력을 장악하고 독재지배 체제를 유지했다.
1980년 5월18일 경상북도 경주에서 민주화와 학생인권 존중 시위를 하다가 경찰과 충돌했다. 이를 계기로 학생과 시민 시위가 전국적으로 전개되었다. 평화적으로 시작된 시위는 경찰과 군대가 무력으로 대응하면서 충돌과 희생자가 발생했다.
특히 전남 광주에서 시위대와 시민들이 경찰과 군대와 격렬하게 대립, 와중에 많은 시민들이 희생됐다. 군사정권은 광주에서의 민주화 운동을 무력으로 진압하려 했으나, 시민들의 저항으로 결국 실패했다.
전두환과 ‘하나회’가 이끄는 신군부 세력은 5·17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육군 공수부대를 투입해 광주 시민의 궐기를 폭력으로 진압했다. 이에 따라 무장한 시민군이 반발, 공격하자 교전이 벌어졌고 다수의 사상자를 발생시켰다.
한국은 계엄령 아래에 있어 언론활동이 불가능, 독일 공영방송 ARD의 위르겐 힌츠페터 기자가 참상을 처음으로 세계에 알렸다.
정부는 1997년 '5.18운동'을 국가기념일로 제정하고 매년 정부주관 기념행사를 가졌다.
북한,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에서도 이 사건을 광주인민봉기라고 호칭, 해마다 기념한다.
2011년에는 민주시민 봉기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개요
1980년 5월부터 정치 관여 의도를 드러내는 신군부의 움직임에 대한 반발로 전두환 퇴진을 요구하는 학생 시위가 발생했다. 같은 달 국회에서는 계엄 해제와 개헌 논의를 비롯한 정치 현안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
이에 대해 신군부는 5월17일 24시를 기해 지역적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정치활동 금지령·휴교령·언론 보도검열 강화 같은 조치를 내렸다.
군부는 김대중, 김영삼, 김종필 등을 포함한 정치인과 재야 인사들 수천 명을 감금하고 군 병력으로 국회를 봉쇄했다. 광주 지역 학생들은 '김대중 석방', '전두환 퇴진', '비상계엄 해제'를 외치며 시위에 나섰다. 군부는 부마(부산·마산)항쟁 때처럼 광주시위를 과소평가하고 공수부대 같은 계엄군을 투입했다. 이들은 80년 3월부터 시위진압을 위한 충정훈련을 실시했고, 5월초부터는 군병력을 광주지역에 배치, 시위에 대비했다.
광주학살의 시작
18일 오후 4시 광주 시내에 투입된 공수부대원은 시위 학생뿐 아니라 시위와 무관한 시민까지 닥치는 대로 살상, 폭행했다. 시민들의 격렬한 저항에 부딪힌 계엄군은 21일 오후 1시께 전남대학교와 전남도청 앞에서 집단 발포한 후 철수했다. 계엄군은 광주 외곽도로 봉쇄작전을 펼쳤고 27일 0시를 기해 전남도청을 점령했다.
광주 민주화 운동 결과 시위현장 사망자 166명, 행방불명자 54명, 부상 후유증 사망자 376명의 인명피해를 입었다. 주한미대사관과 주한미군 사령관 등은 항의했으나 군부는 이를 묵살했다.
1996년 검찰은 5.18을 조사, 신군부의 쿠데타를 통한 집권의도를 밝혀냈다. 대법원은 이듬해 5·18, 12·12 진압 관련자를 유죄판결했다. "광주시민들은 피고인 신군부의 국헌 문란 행위에 궐기, 헌법을 수호했다"라고 규정했다. 대법원은 전두환·정호용·이희성·황영시·주영복 등을 5·18 진압 책임자로 판시했다.
명칭
현재의 사건 명칭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은 1988년 3월 노태우 대통령 정부 산하 ‘민주화합추진위원회’가 확정했다. (계속)
기록으로 보는 5.18
날짜: 1980년 5월18~5월28일
지역: 전라남도 광주시(현 광주광역시)
결과: 민주화 운동에 대한 유혈 진압
시위 당사자
광주 시위대, 대한민국 육군 및 전라남도 경찰국
주요 인물
보안사령관: 전두환
계엄사령관: 윤흥정 → 소준열
31사단장: 정웅
특전사령관: 정호용
11공수여단장: 최웅
전남도경국장: 안병하
사상자
시위 중 사망: 165명
부상 후유증 사망자: 376명
행방불명: 76명
부상: 3,139명
군경 사망: 군인 23명. 경찰 4명
www.koreatimes.net/핫뉴스
김명규 발행인 (publisher@koreatime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