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핫뉴스
북한 우주발사체 서해 추락
어청도 서방 200여㎞ 해상에…軍, 잔해 수거
-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팀 (editorial@koreatimes.net)
- May 31 2023 07:55 AM
서울시 경계경보 오발령 소동
◆합동참모본부는 31일 북한이 발사한 이른바 우주발사체 일부를 해상에서 인양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진은 '북 주장 우주발사체' 일부로 추정되는 물체.
【서울】 북한이 31일 정찰위성을 탑재한 것으로 보이는 우주발사체를 쏘아 올렸지만 엔진 고장으로 실패했다.
북한이 위성을 탑재했다고 주장한 발사체를 쏜 것은 2016년 2월7일 '광명성호' 이후 7년여 만으로, 한국과 미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에 위배되는 북한의 도발을 강력히 규탄했다.
북한은 이날 오전 6시29분께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남쪽으로 우주발사체를 발사했지만, 비정상적 비행으로 어청도 서방 200여km 해상에 낙하했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밝혔다.
북한은 발사 2시간 30여분 만에 정찰위성 발사가 실패했음을 공식 인정했다.
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군사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신형위성운반로켓 '천리마-1'형에 탑재해 발사했다"면서 "'천리마-1'형은 정상 비행하던 중 1계단 분리 후 2계단 발동기(엔진)의 시동 비정상으로 하여 추진력을 상실하면서 서해에 추락했다"고 발표했다.
이어 "엄중한 결함을 구체적으로 조사 해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과학기술적 대책을 시급히 강구하며 여러가지 부분시험들을 거쳐 가급적으로 빠른 기간 내에 제2차 발사를 단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발사한 이른바 우주발사체 일부를 해상에서 인양하고 있다고 31일 밝혔다. 사진은 '북 주장 우주발사체' 일부로 추정되는 물체.
군은 낙하한 북한 발사체 잔해를 인양, 추진체 엔진의 성능과 외국 부품 사용 여부, 기술 수준 등을 확인 중이다.
대통령실은 조태용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NSC 상임위원들은 "이번 발사는 성공 여부와 무관하게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중대한 위반이자 한반도와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도발"임을 강조하고 이를 규탄했다.
미국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도 성명을 내고 "미국은 북한의 탄도 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미사일 발사를 강력히 규탄한다"며 "이는 뻔뻔한 복수의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며 역내 및 이를 넘어서는 안보 저해 행위"라고 비판했다.
북한은 정찰위성 발사가 '자위권'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이는 탄도미사일 기술을 활용한 북한의 모든 발사를 금지하고 있는 안보리 결의에 정면으로 위배된다.
이에 따라 한국과 미국, 일본 등은 안보리 소집을 요구하는 등 대응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우주발사체를 발사한 31일 오전 서울시가 발송한 경계경보 발령 위급 재난문자(왼쪽). 행정안전부는 이어 6시41분 서울시가 발령한 경계경보는 오발령 사항이라는 문자를 다시 보냈다.
한편 북한의 우주발사체 발사로 서울에 경계경보가 잘못 발령되는 등 혼란도 빚어졌다.
서울시는 "오늘 오전 6시32분 서울지역에 경계경보 발령. 국민 여러분께서는 대피할 준비를 하시고, 어린이와 노약자가 우선 대피할 수 있도록 해주시기 바랍니다"라고 안내문자를 보냈으나, 행정안전부는 30여분 뒤 "서울시가 발령한 경계경보는 오발령"이라고 정정했다.
합참은 "우리 군은 경계태세를 격상한 가운데 한미 간 긴밀하게 공조하면서 만반의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www.koreatimes.net/핫뉴스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팀 (editorial@koreatime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