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핫뉴스
일본 외무장관 "독도 일본땅" 망언
외교부 강력 반발 "즉각 철회할 것"
- 연지원 기자 (press2@koreatimes.net)
- Jan 30 2024 02:41 PM
11년째 부당한 영유권 주장 한·일 관계 구축에 도움 안돼 사도광산 유네스코 등재, "전체 역사 반영할 것"
일본 정부가 다시 한번 독도 영유권 주장을 내세워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30일(현지시간) 가미카와 요코 외무장관은 국회 외교연설에서 독도가 일본의 고유 영토라고 주장했다.
가미카와 요코 일본 외무상. 연합뉴스
이에 외교부는 역사적, 지리적, 국제법적 근거를 무시한 채 부당한 영유권 주장을 11년째 이어가고 있다는 점에 강력히 항의하며, 이를 즉각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가미카와는 이 자리에서 독도가 역사와 국제법에 따라 일본의 소유임을 주장하며, 일본은 이러한 입장을 바탕으로 의연히 대처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하야시 요시마사, 전임 외무장관의 지난해 발언과 큰 차이가 없다.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이 외교연설에서 공개적으로 제기된 것은 아베 신조 전 총리 재임 기간인 2014년이 처음으로, 당시 외무장관이던 기시다 후미오(현 총리)가 "시마네현 다케시마는 일본 고유의 영토"라고 공식화하며 분쟁을 일으켰다.
한국 정부는 일본의 이 같은 주장은 독도에 대한 주권에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재확인하며, 독도에 대한 일본의 어떠한 도발에도 단호히 대응할 것임을 밝혔다. 더불어 일본 정부의 발언은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 구축에 어떠한 도움도 되지 않는다는 점을 자각해야 한다 지적했다.
또한, 이날 가미카와 장관은 관계국인 한국과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니가타현 사도 광산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확실한 진전을 이루고자 한다며 강한 의욕을 드러냈다. 이에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가 사도 광산의 대상 기간을 16~19세기 중반으로 한정해, 2차 세계대전 당시 강제 동원의 역사를 의도적으로 배제하려는 시도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관련 논의에 있어서도 전체 역사를 반영할 것을 재차 강조했다.
사도 광산 유적 중 하나인 도유갱 내부. 연합뉴스
사도 광산은 일본 사도시 사도가 섬에 있는 금광으로 일본 근대 산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에도 시대(1603~1868)부터 쇼와 시대 초까지 금·은의 주요 산지로 큰 경제적 가치를 지녔었다. 태평양 전쟁 발발 이후 아연·구리·철 등 전쟁물자를 확보하는 시설로 변모했으며 수많은 조선인이 끌려와 강제 노역을 했고, 당시 미지급된 임금을 지급하라 일본 정부에 공탁했으나 10년 후 시효가 지났다며 이를 국고로 환수했다는 일본 정부의 문서가 공개된 바 있다.
앞서 일본은 사실을 알리고 희생자를 기리겠다고 약속하며 지난 2015년 일제 강점기에 조선인 강제 노동이 이뤄졌던 군함도(하시마섬)를 '메이지 일본의 산업혁명 유산'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했다. 하지만 말 뿐이었고 이에 대해 유네스코는 이례적으로 '강한 유감'이라는 뜻을 전했다.
www.koreatimes.net/핫뉴스
연지원 기자 (press2@koreatimes.net)
전체 댓글
peacenjoy ( jchoi37**@gmail.com )
Jan, 31, 10:40 AM Reply얘네들, 또 이러네. 이럴수록 "개무시"해야합니다. 아예 아무런 반응도 보이지말고 그냥 개무시하는것이 현명합니다. 얘네들은 한국선거철만 되면 한번씩 이GR을 떱니다. 절대로 우리한국국민들 이로인해 분열되어서는 않됩니다. 그럼 얘네들이 재미가 붙어 매번 이럴것입니다. 이럴때, 우리 사랑하는 "토론토인공기할배부대"가 일대사관앞에 집합해서 일본도 특검해서 탄핵시켜 버리세요. 화이팅, 당신들 잘해낼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