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핫뉴스
행복 순위 캐나다 15위, 한국 52위
유엔 지속가능발전네트워크 보고서
- 캐나다 한국일보 (editorial@koreatimes.net)
- Mar 20 2024 03:01 PM
핀란드 7년 연속 1위
세계 각국 사람들이 자신의 삶의 질을 평가해 매긴 행복 점수 순위에서 캐나다는 143개국 중 15위, 한국은 52위로 조사됐다.
핀란드가 7년 연속 가장 행복한 나라 1위에 올랐고, 아프가니스탄은 지난해에 이어 최하위를 기록했다.
캐나다의 행복 점수 순위가 세계 15위로 조사됐다. CP통신 자료사진
유엔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는 유엔이 정한 ‘국제 행복의 날’인 20일 이같은 내용의 ‘세계행복보고서(WHR)'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갤럽세계여론조사(GWP)가 매년 세계 각국에서 실시하는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해 작성하며, 최근 3년치 데이터를 반영해 점수와 순위를 산출한다. 올해 보고서는 2021∼2023년 자료를 기반으로 했다.
올해 한국의 행복 점수는 6.058점이다. 2022년엔 57위(5.935점), 2021년엔 62위(5.845점)로 조금씩 상승하고 있다. 그러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중에서 한국보다 점수가 낮은 나라는 포르투갈(55위) 그리스(64위) 콜롬비아(78위) 튀르키예(98위) 등 네 곳뿐이었다.
핀란드가 7.741점으로 7년 연속 1위를 차지했고, 덴마크 아이슬란드 스웨덴이 2~4위에 올라 북유럽 국가가 상위권을 지켰다. 이어 이스라엘, 네덜란드, 노르웨이, 룩셈부르크, 스위스, 호주 순이었다.
15위 캐나다는 지난해보다 2계단 추락했다.
이에 대해 보고서 관계자는 "과거에 비해 30세 미만 연령층의 행복도가 많이 낮아진 탓"이라고 분석했다.
미국과 독일은 각각 23, 24위로 2012년 보고서 발간 후 처음으로 20위권에 들지 못했다. 동아시아에선 일본이 한국보다 한 계단 높은 51위, 중국이 60위였다.
이번 보고서에선 세대별 행복도도 비교했다. 일반적으로 청년세대가 기성세대보다 더 행복한 것으로 조사됐지만 북미, 호주, 뉴질랜드에서는 최근 젊은 세대의 행복도가 급격히 떨어져 이제는 노년층의 행복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청년층이 소셜미디어로 자존감이 낮아지고 경제적으로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반면 주식 및 부동산 시장 호황으로 55세 이상은 부를 누리게 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국은 청년층(52위)보다 노년층(59위)의 행복도가 낮았지만 큰 차이는 나지 않았다.
국가별 행복 점수 순위
(유엔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
1. 핀란드
2. 덴마크
3. 아이슬란드
4. 스웨덴
5. 이스라엘
15. 캐나다
51. 일본
52. 한국
www.koreatimes.net/핫뉴스
캐나다 한국일보 (editorial@koreatime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