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
  • 핫뉴스
  • 부동산·재정
  • 이민·유학
  • 문화·스포츠
  • 주간한국
  • 오피니언
  • 게시판
  • 기획기사
  • 업소록
  • 지면보기
  • 광고문의
  • 기사제보
  •     Tel: (416) 787-1111
  •     Email: public@koreatimes.net
  • LOGIN
  • CONTACT
  • 후원
  • 기사검색
  • LOGIN
  • CONTACT
  • 기사제보
  • 광고문의
  • HotNews 토론토 신규 주택 판매 50% 급감
  • HotNews 캐나다, 방위비 상향엔 공감... 시점은 미정
  • HotNews 온타리오·퀘벡, 기록적 폭염 지속
  • HotNews 트럼프 "둘 다 휴전협정 위반"
  • HotNews ‘12일 전쟁’ 종료 선언 무색
  • HotNews 5월 캐나다 인플레이션 1.7% 유지
  • HotNews TTC, 던다스역 스크린도어 보류
  • HotNews 홍푹의 밤 행사, 40만 달러 기금조성
  • Opinion '그 아침의 농담'에 대해
koreatimes logo
  • 지면보기
  • 핫뉴스
  • 문화·스포츠
  • 주간한국
  • 이민·유학
  • 부동산·재정
  • 자동차
  • 오피니언
  • 게시판
  • 업소록
  • 후원
  • 기사검색

Home / 오피니언

먼저 온 통일, 북한이탈주민

탈북민의 어려움 공감으로 바라봐야


  •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
  • Aug 03 2024 12:16 PM


지난 14일 올해 처음으로 제정된 ‘북한이탈주민의 날’ 기념식이 열렸다. 북한이탈주민의 날은 금년 초 윤석열 대통령 지시로 북한이탈주민을 우리 국민으로 보호하고, 따뜻하게 포용해 나가기 위한 목적에서 제정됐다. 국경을 넘고 힘들게 산 지난날들의 한이 일부라도 풀렸겠다는 생각에 안도의 마음이 든다. 이날 행사가 북한이탈주민들의 희망과 도전을 응원하고, 우리 사회에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따뜻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감대를 확대하는 계기가 되었으리라 본다.

 

화면 캡처 2024-07-30 124150.jpg

윤석열 대통령이 14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1회 북한이탈주민의날 기념식'에서 합창을 마친 남한 청소년·북한이탈주민 청소년 합창단과 함께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왕태석 선임기자

 

 

본격적인 탈북이 시작된 지 30년이 넘었고, 북한이탈주민 중 약 90%가 거주기간이 10년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심리적 친밀감은 하락하고 있다. 2022년 서울대 통일의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남한 주민이 탈북민에 대하여 친근하게 느끼지 않는다는 답변은 2018년 25%에서 2022년 32% 수준으로 높아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통령이 북한이탈주민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보호와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역량 강화를 위하여 노력하겠다고 약속한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국민통합위원회에서도 특별위원회를 만들어 북한이탈주민들이 더 이상 정착지원 대상이 아닌 당당한 대한민국 구성원이 되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제안한 바 있다.

이들의 정착과 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종합적인 보호와 지원체계 구축도 중요하지만, 민간 차원의 따뜻한 관심과 공감도 중요하다. 무엇보다도 우리 스스로가 어떻게 탈북민에 대한 ‘낯섦’에서 벗어나 친숙함으로 다가갈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

탈북민은 당당한 대한민국 국민임에도 불구하고 출신에서 비롯된 낯선 존재로 인식하는 것을 극복해야 한다. 그동안 미디어 속에서 탈북민이 어떻게 비치고 있는지 성찰해 보아야 한다. 일반적인 범죄기사에서 북한이탈주민과 관련이 없음에도 북한이탈주민 출신임을 강조하는 기사가 등장하는 것이 현실이다. 탈북민 학교를 혐오시설화하는 주민들의 반응도 우리들의 민낯을 그대로 보여 주는 것이다.

북한이탈주민의 날을 맞아 ‘먼저 온 통일’인 북한이탈주민이 우리 사회에서 낯선 존재로 배제되지 않고, 진정한 통합으로 나아가도록 일반 시민들의 공감 확산이 절실하다. 주민들이 함께 아파하고 함께 힘들어할 때 그들이 더 이상 아웃사이더로 남지 않을 것이다. 정부, 지자체, 지역주민 모두가 이들에게 따뜻한 품을 내줄 때 탈북민이 스스로 역량을 축적하여 우리 사회 통합의 기여자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2015년 탈북민 대안학교인 여명학교를 방문한 요아힘 가우크 독일 대통령은 “통일 이전으로 돌아간다면 통일을 준비하기 위해 어떤 일을 하시겠습니까?”라는 학생들의 질문에 “역사에 만약은 없지만, 만약 그때로 돌아간다면 우리도 통일 전에 여러분들처럼 서독에 먼저 온 탈동독민들의 서독사회 적응과정을 보며 통일 이후를 준비했을 거예요”라고 답했다고 한다.

탈북민들이 한국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부작용들은 사회통합을 위한 통일 예습, 미래 통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생산적 과정으로 인식했으면 좋겠다. 불원간 다가올 통일을 위해서라도 먼저 온 통일, 탈북민들이 겪는 어려움을 공감으로 바라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이현출 | 건국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796x276-한국일보-웹사이트-제작-서비스_master.jpg

 

www.koreatimes.net/오피니언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

  • 코데코 록키엘크 녹용 & 공진단
  • 리쏘 (Lisso) 안마의자

댓글을 달아주세요

댓글운영원칙
'댓글'은 기사 및 게시글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온라인 독자들이 있어 건전한 인터넷 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 원칙을 적용합니다.

1. 댓글삭제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 하겠습니다.
  1. 1) 타인에 대한 욕설 또는 비판
  2. 2) 인신공격 또는 명예훼손
  3. 3) 개인정보 유출 또는 사생활 침해
  4. 4) 음란성 내용 또는 음란물 링크
  5. 5) 상업적 광고 또는 사이트/홈피 홍보
  6. 6) 불법정보 유출
  7. 7) 같은 내용의 반복(도배)
  8. 8) 지역감정 조장
  9. 9) 폭력 또는 사행심 조장
  10. 10) 신고가 3번 이상 접수될 경우
  11. 11) 기타 기사 내용과 관계없는 내용

2. 권한제한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 드립니다.

카테고리 기사

the-design-lady-wsi3iwmp1f0-unsplash.jpg

이석을 찾아서 (상)

23 Jun 2025    0    0    0
그 아침의 농담 사진.jpg

'그 아침의 농담'에 대해

23 Jun 2025    0    0    0
adobestock_220853283.jpeg

미국인 63% “미군은 세계 최강이어야 한다”

16 Jun 2025    0    0    0
20250620-12062431.jpg

조령모개·조삼모사

20 Jun 2025    0    1    0
임빈 작품.jpg

27회 한국일보 미술대회 심사를 마치고…

20 Jun 2025    1    0    0
그 아침의 농담 사진.jpg

그 아침의 농담 (하)

20 Jun 2025    0    0    0


Video AD



오늘의 트윗

20250620-12062431.jpg
Opinion
조령모개·조삼모사
20 Jun 2025
0



  • 인기 기사
  • 많이 본 기사

달러.jpg
HotNews

캐나다 백만장자 210만 명...세계 7위

18 Jun 2025
0
48a13329-b4fd-416f-a860-1adf8a154d50.jpg
HotNews

“양자컴퓨터, 변곡점에 도달했다”

16 Jun 2025
0
maxresdefault (2).jpg
Feature

캐나다 최고 미대는 어디?

19 Jun 2025
0
스크린샷 2025-06-21 095338.png
HotNews

"12만불 연봉"... 보이지 않는 빈곤층

21 Jun 2025
0
베이징.jpg
HotNews

"미국 대신 캐나다, 영국으로"

02 Jun 2025
0
c446cfc9-2e55-4c52-a56e-8fa6eee3da9c.png
CultureSports

“넷플릭스가 흙 뿌렸다”

09 Jun 2025
0
복권.jpg
HotNews

2천만 불 당첨에도 정시 출근

11 Jun 2025
0
대상.jpg
CultureSports

한국일보 미술대회 대상에 임소현양

20 Jun 2025
0


500 Sheppard Ave. E. Unit 206 & 305A, North York, ON M2N 6H7
Tel : (416)787-1111
Fax : (416)781-8434
Email : public@koreatimes.net
광고문의(Advertising) : ad@koreatimes.net

캐나다 한국일보

  • 기사제보
  • 온라인지면 보기
  • 핫뉴스
  • 이민·유학
  • 부동산·재정
  • 주간한국
  • 업소록
  • 찾아오시는 길

한인협회

  • 한인문인협회
  • 한인교향악단
  • 한국학교연합회
  • 토론토한인회
  • 한인여성회
  • 한인미술가협회
  • 온주한인실협인협회

공익협회

  • 홍푹정신건강협회
  • 생명의전화
  • 생태희망연대

연관 사이트

  • 토론토총영사관
  • 몬트리올총영사관
  • 벤쿠버총영사관
  • 캐나다한국대사관
  • KOTRA

The Korea Times Daily 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The Korea Times Dail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