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
  • 핫뉴스
  • 부동산·재정
  • 이민·유학
  • 문화·스포츠
  • 주간한국
  • 오피니언
  • 게시판
  • 기획기사
  • 업소록
  • 지면보기
  • 광고문의
  • 기사제보
  •     Tel: (416) 787-1111
  •     Email: public@koreatimes.net
  • LOGIN
  • CONTACT
  • 후원
  • 기사검색
  • LOGIN
  • CONTACT
  • 기사제보
  • 광고문의
  • CultureSports 화창한 날씨 속 꿈나무들 그림잔치
  • HotNews 시영 수영장 15곳 오픈
  • HotNews 임웅순 대사, 국가안보실 2차장에
  • HotNews 이스라엘 폭격에 이란 국영방송국 화재
  • HotNews 노스욕 건설현장서 근로자 사망
  • HotNews 고장 난 수도계량기 탓 2,400불 요금 폭탄
  • HotNews 딜러에서 산 포르셰, 알고 보니 도난차
  • HotNews 이란 공습에 이스라엘 한인들 피란
  • Opinion 그 아침의 농담 (상)
koreatimes logo
  • 지면보기
  • 핫뉴스
  • 문화·스포츠
  • 주간한국
  • 이민·유학
  • 부동산·재정
  • 자동차
  • 오피니언
  • 게시판
  • 업소록
  • 후원
  • 기사검색

Home / 기획기사

[기획] 집이란 우연히 찾은 필연

경기 안양 ‘뜻밖의 여행’


  •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
  • Oct 03 2024 09:51 AM

출입구 좁아 불편했던 집이었지만 2층서 내다보이는 벚나무에 반해 네모반듯 건물 사이에 ‘눈썹 지붕’ 1층 서점, 2·3층은 가족 생활 공간 ‘직주근접’보다 좋은 ‘직주일체’의 삶 층마다 여백을 둬 ‘숨구멍’ 많은 집 “이웃들과 책으로 교감하는 삶 꿈꿔 서점으로 동네 ‘정서적 언덕’ 되고파”


단점 없는 땅은 없다. 좁은 골목마다 집과 빌딩이 촘촘히 어깨를 맞대고 있는 구도심에선 더 그렇다. 오래된 도시 한가운데 집을 짓기란 한계와 제약 속에서 방법을 찾는 도전이다. 경기 안양시 동안구에 자리한 상가주택 ‘뜻밖의 여행’(대지면적 163㎡, 연면적 175.7㎡)도 대지의 뚜렷한 결점을 안은 채 첫 삽을 떴다. 집은 인접한 왕복 12차로인 경수대로에서 보면 앞 건물에 가려져 출입문만 빼꼼히 보인다. 내부로 들어가려면 왼쪽 건물과 앞 건물 사이의 폭 2m, 길이 8m 남짓한 통로를 지나야 한다. 접근성이 높은 1층에 상업 공간을 계획했던 건축주로선 입구가 주둥이처럼 기다란 호리병 모양의 땅은 아쉬운 부분이었다.

 

f1a41d00-b0e5-473c-827c-c03457989853.png

경기 안양시 동안구에 자리한 상가주택 '뜻밖의 여행'. 1층은 책방으로 쓰는 상업 공간, 2, 3층은 건축주 가족이 사는 생활 공간이다. 외부와 시각적, 물리적으로 접점이 많은, '숨구멍' 많은 집이다. 김정현 건축사진작가

 

 

건축주인 이은형(52) 윤창섭(55) 부부의 썩 내키지 않은 마음을 돌린 건 집 반대편의 전경이었다. 20년 넘은 2층 단독주택이 있던 자리였는데, 대로 반대쪽은 어린이공원과 맞닿아 시야가 트여 있었다. 이씨는 2층 테라스(현재 2층 거실)에서 벚나무를 본 순간 여기 살게 될 것임을 직감했다. 결혼하고 쭉 이 동네에 살았지만 처음 와보는 뜻밖의 장소였다. 약 1년간 공사 끝에 완성된 3층 집에는 부부와 고2 아들 세 식구가 산다. 아내 이씨는 새 집을 지으며 동네 책방 운영을 시작했다. 1층은 1,600종 2,200권의 책을 들인 서점이고, 2, 3층은 가족의 생활 공간이다.


네모반듯한 콘크리트 사이… 삐딱한 눈썹 지붕

 

fabccfe5-6677-41aa-b453-bc12122f61a1.jpg

주방과 거실, 부부 침실이 자리한 2층의 생활 공간. 천장의 지붕 트러스를 그대로 노출시켰다. 주방과 거실 사이에 단차를 두어 개방감 있게 공간을 분리했다. 김정현 건축사진작가

 

32f952d8-b305-4231-bbfe-989b3471fdc5.jpg

2층 거실 큰 창은 바깥의 벚나무와 어린이공원의 풍경을 집 안으로 끌어들인다. 김정현 건축사진작가

 

설계는 이씨가 알고 지내던 비그라운드아키텍츠 건축사사무소의 윤경숙 소장과 차주협 소장이 맡았다. 건축가로선 까다로운 과제였다. 건축주는 신축을 원했지만 건축법상 신축 시 요구되는 주차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웠다. 1층을 근린생활시설로 용도 변경도 해야 했다. 결국 신축 대신 증축·대수선 하기로 결정했다. 뼈대만 남기고 다 철거하는 대공사였다. 주차 문제는 “차 때문에 집을 포기하는 게 맞지 않다는 생각”에 한 대는 처분하고 남은 한 대는 인근 공영주차장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해결했다. 외관은 네모 반듯한 콘크리트 건물 사이에서 존재감을 드러낼 수 있게 삐딱한 경사 지붕, 눈썹 지붕으로 계획했다. 건축비로 4억5,000만 원(인·허가 비용 포함)이 들었다. 윤 소장은 “땅을 매입한 상태에서 건축가에게 오는 경우가 많은데 법적인 고려를 하지 않으면 낭패를 볼 수 있다”며 “기획 단계부터 건축가와 함께하면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ba3704aa-24f7-44eb-a4ed-ea6d0a3800f0.jpg

1층 서점의 내부. 보강 구조물인 '브레이싱'을 책장으로 활용했다. 건축주 제공

 

구조 보강 장치가 1~3층 곳곳에 드러나 있는 게 이 집의 특징이다. 매끈함 대신 울퉁불퉁한 구조물을 당당히 드러내는 것을 택했다. 2층 주방과 거실을 잇는 자리엔 지붕 트러스(지붕을 덮는 틀)가 그대로 모습을 보이고 3층 아들 방 천장의 브레이싱(건축물의 흔들림·변형을 막기 위해 대는 부재)은 아들이 고른 파란색으로 칠해 눈에 확 띈다. 1층 서점에는 엑스(X)자 모양의 브레이싱을 책장 인테리어로 영리하게 활용했다. 윤 대표는 “가리게 되면 천장이 낮아지고 답답해 보일 수 있어 구조물을 노출시키고 개방감을 줬다”고 말했다.


10초 컷, 직주일체 집에 살아보니

 

6cf93a2e-ba25-4d0d-9939-ed928834ade7.jpg

아들의 방으로 쓰이는 3층과 다락. 실용 음악을 전공하는 아들은 이곳에서 마음껏 기타를 친다. 김정현 건축사진작가


이씨는 안양에서 태어나 초등학교 5학년 때부터 이곳에서 자란 호계동 토박이다. 애정 깊은 이 동네에 문화 공간을 만들고 싶은 바람이 있었다. 그러던 차에 지역의 문화 구심점 역할을 하는 동네 책방의 가능성을 봤다. 전북 전주에서 동네 책방을 먼저 운영하던 지인도 “언니라면 잘 할 수 있다”며 응원했다. 결혼하고 15년 동안 아파트에만 살다가 집을 짓고 1층에 책방을 하겠다는 원대한 계획이 시작된 계기다. 지켜보는 남편은 걱정이 앞섰다.

“어렸을 때 집이 시골에서 가게를 했어요. 학교 다니고 한창 놀 나이에 아버지가 가게 좀 보라 그러는 게 싫더라고요. 몸이 매여 있는 게 힘들다는 것을 아니까, 아내가 유독 활발하고 돌아다니는 것을 좋아하는 성격인데 걱정이 됐지요.” 직장인의 꿈인 ‘직주근접’을 이룬 사람은 많아도 ‘직주일체’에 성공한 사람은 흔치 않다. 집과 직장이 한 곳에 붙어 있는 생활 3년차, 어땠을까. 이씨는 “한껏 게으름을 피워도 직장까지 10초 컷이라 아이도, 책방도 필요할 때 수시로 들여다볼 수 있다는 게 장점”이라고 말했다. 남편 걱정대로 가끔 벗어나고 싶을 때도 있다. 하지만 이런 일상이 주는 설렘과 재미가 더 크다. 단조롭지 않은 공간의 힘이다. “단독주택에 살면 꽃이 번갈아 피고 열매 맺는 걸 보면서 계절을 온몸으로 느끼거든요. 물론 일이 많아요. 낙엽도 쓸어야 하고 눈도 치워야 해요. 그런데 그렇게 몸을 움직이고 계절을 경험하면서 살아 있다고 느껴요.”

 

5cfdda64-aadd-4c17-b560-371541f1ee1e.jpg

봄이 되면 2층 거실 창가에 앉아 만개한 벚나무를 감상할 수 있다. 건축주 제공

 

집의 하이라이트는 벚나무가 눈에 가득 들어오는 2층 거실이다. 거실에 넓게 난 창은 벚나무를 품은 어린이 공원을 차경(借景)한다. 바깥 풍경을 집으로 끌어들여 22평가량의 2층은 실제보다 넓어보인다. 책방에 반대하던 남편도 이제는 든든한 지원군으로 변신했다. 눈썰미와 손재주 좋은 남편은 책방의 대부분 가구를 손수 만들었다. 책방에서 모임이 있을 땐 가끔 셰프로 변신해 요리도 한다. 기획해봄 직한 행사를 먼저 제안하기도 한다. 이씨는 “공간이 사람을 변하게 하는 것 같다”며 웃었다.

 

마당, 테라스, 발코니… 숨구멍 많은 집
50평이 안 되는 땅에 지은 집이지만 층마다 빈 공간, 여백이 하나씩 있다. 1층 서점이 어린이 공원과 맞닿은 부분에는 한옥의 대청 마루를 떠올리게 만드는 작은 마당이 있다. 2층에는 주방과 이어지는 테라스를, 3층 아들 방엔 발코니를 만들었다. 차주협 소장은 “건축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게 건물의 구멍”이라며 “특히 도시에서는 꼭 창문이 아니더라도 외부와 시각적,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공간이 많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일종의 숨구멍인 셈이다. ‘뜻밖의 여행’은 지난해 경기도 건축문화상 특별상을 받았다. 실내 공간으로 꽉 채우기보다는 덜어내기를 선택했더니 일상에선 종종 뜻밖의 연결이 일어난다. 공원에서 운동하던 사람이 1층 마당에서 책장을 만든다고 톱질을 하는 남편에게 “뭐하고 계시냐”며 알은체를 하고, 북 토크를 진행하던 아내 이씨와 눈이 마주친 행인은 목례를 건넨다.

 

a2fd6919-0441-45f9-92d9-a20fd7c7f0ae.jpg

완공하고 보니 단점이 뜻밖의 장점이 됐다. 책방지기인 이씨는 "짧지만 좁은 길이 골목으로 접어든 것처럼 손님들에겐 신선한 모양"이라며 "다른 곳으로 공간 이동한 것 같다고들 한다"고 말했다. 건축주 제공

 

가게 문도 하루만 열고 닫는 팝업의 전성 시대, 건축주는 이 자리에서 오랫동안 사람들과 “책으로 교감하며” 살아가길 꿈꾼다. 이씨는 “최연소 단골 고객이 36개월 된 아이”라며 “그런 어린아이들이 커서 찾아왔을 때 ‘책방 아줌마 저 왔어요’ 할 수 있는 동네의 정서적 언덕이 되고 싶다”고 말했다.

송옥진 기자

배너광고_이샤론.png

www.koreatimes.net/기획기사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

  • 코데코 록키엘크 녹용 & 공진단
  • 리쏘 (Lisso) 안마의자

댓글을 달아주세요

댓글운영원칙
'댓글'은 기사 및 게시글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온라인 독자들이 있어 건전한 인터넷 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 원칙을 적용합니다.

1. 댓글삭제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 하겠습니다.
  1. 1) 타인에 대한 욕설 또는 비판
  2. 2) 인신공격 또는 명예훼손
  3. 3) 개인정보 유출 또는 사생활 침해
  4. 4) 음란성 내용 또는 음란물 링크
  5. 5) 상업적 광고 또는 사이트/홈피 홍보
  6. 6) 불법정보 유출
  7. 7) 같은 내용의 반복(도배)
  8. 8) 지역감정 조장
  9. 9) 폭력 또는 사행심 조장
  10. 10) 신고가 3번 이상 접수될 경우
  11. 11) 기타 기사 내용과 관계없는 내용

2. 권한제한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 드립니다.

카테고리 기사

4e81dacd-b8ef-449e-978f-41cfbfa4ea97.jpg
F

‘친윤보수’는 14%뿐...

16 Jun 2025    0    0    0
c7ebb8c5-325d-4e2a-86b4-ddac0f8cc63f.jpg
F

“흔들린 韓 민주주의 위상, 사형제 폐지로 바로잡아야”

16 Jun 2025    0    0    0
20250615_drawingcontest.png
F

오늘만큼은 나도 화가!

15 Jun 2025    0    0    0
20250615_fathersday.png
F

아버지께 바치는 연주

15 Jun 2025    0    0    0
download (2).png
F

“K귀신 마음도 이해가 되네”

09 Jun 2025    0    0    0
ef3394fa-0ab7-4f13-a2af-8dad6600b24b.jpg
F

몽골에 39년 항거한 강화 도성

09 Jun 2025    0    0    0


Video AD



오늘의 트윗

20250605-12061940 (1).jpg
Opinion
진영감정 꺼져라, 우린 다시 화해한다
05 Jun 2025
0



  • 인기 기사
  • 많이 본 기사

lcbo.jpg
HotNews

LCBO 맥주가격 최대 50%↓

16 May 2025
0
스크린샷 2025-05-17 114726.png
HotNews

"벌금 장사 그만" 과속카메라 놓고 포드 정부-지자체 갈등

17 May 2025
0
치과2.jpg
HotNews

"1일 신청했더니 12일 카드 도착"

14 May 2025
0
개솔린.jpg
HotNews

온주 개솔린세 인하 영구화

13 May 2025
0
베이징.jpg
HotNews

"미국 대신 캐나다, 영국으로"

02 Jun 2025
0
c446cfc9-2e55-4c52-a56e-8fa6eee3da9c.png
CultureSports

“넷플릭스가 흙 뿌렸다”

09 Jun 2025
0
마약.jpg
HotNews

한국 법원, 캐나다 시민권자에 징역 20년 선고

21 May 2025
0
복권.jpg
HotNews

2천만 불 당첨에도 정시 출근

11 Jun 2025
0


500 Sheppard Ave. E. Unit 206 & 305A, North York, ON M2N 6H7
Tel : (416)787-1111
Fax : (416)781-8434
Email : public@koreatimes.net
광고문의(Advertising) : ad@koreatimes.net

캐나다 한국일보

  • 기사제보
  • 온라인지면 보기
  • 핫뉴스
  • 이민·유학
  • 부동산·재정
  • 주간한국
  • 업소록
  • 찾아오시는 길

한인협회

  • 한인문인협회
  • 한인교향악단
  • 한국학교연합회
  • 토론토한인회
  • 한인여성회
  • 한인미술가협회
  • 온주한인실협인협회

공익협회

  • 홍푹정신건강협회
  • 생명의전화
  • 생태희망연대

연관 사이트

  • 토론토총영사관
  • 몬트리올총영사관
  • 벤쿠버총영사관
  • 캐나다한국대사관
  • KOTRA

The Korea Times Daily 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The Korea Times Dail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