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
  • 핫뉴스
  • 부동산·재정
  • 이민·유학
  • 문화·스포츠
  • 주간한국
  • 오피니언
  • 게시판
  • 기획기사
  • 업소록
  • 지면보기
  • 광고문의
  • 기사제보
  •     Tel: (416) 787-1111
  •     Email: public@koreatimes.net
  • LOGIN
  • CONTACT
  • 후원
  • 기사검색
  • LOGIN
  • CONTACT
  • 기사제보
  • 광고문의
  • HotNews 카니, 나토 정상회의 유럽행
  • HotNews "군인 월급 20% 인상"... 실제론?
  • HotNews 온주 전역 '위험 수준' 폭염 경보
  • HotNews 李 대통령 나토 정상회의 안 간다
  • HotNews 미국, 이란 핵시설 3곳 전격 폭격
  • HotNews 승차 공유 서비스, 성폭행 고발 이어져
  • HotNews 울타리 하나에 법정까지…
  • CultureSports 한국일보 미술대회 대상에 임소현양
  • Opinion 27회 한국일보 미술대회 심사를 마치고…
koreatimes logo
  • 지면보기
  • 핫뉴스
  • 문화·스포츠
  • 주간한국
  • 이민·유학
  • 부동산·재정
  • 자동차
  • 오피니언
  • 게시판
  • 업소록
  • 후원
  • 기사검색

Home / 기획기사

[기획] “술 없이도 놀 수 있네요”

맥주의 나라 독일에 스며든 ‘알코올 프리’


  •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
  • Oct 04 2024 11:11 AM

무알코올 음료 성장하는 독일 뮌헨 처음 생긴 무알코올 야외 술집 ‘한 잔 더’ 없어 사업성은 떨어지지만 市와 주변 업체 협력으로 문을 열어


독일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음악 장르 중 하나인 테크노(전자음악의 일종)가 디제이(DJ)의 손끝에서 울려 퍼진다. 흥에 겨운 관객들은 어깨를 들썩인다. 음악에 맞춰 맥주병과 와인 잔 부딪히는 소리가 이어진다.

지난달 23일(현지시간) 금요일 독일 남부 바이에른주(州) 주도인 뮌헨에서 펼쳐진 ‘불금’ 풍경이다. 열기가 뜨거웠던 이곳은 뮌헨에서도 유동인구가 많은 중앙역 인근 ‘구식물원 공원’ 입구에 들어선 비어가르텐(Biergarten) ‘디 눌’(Die Null). 직역하면 ‘맥주 정원’인 비어가르텐은 독일에서 ‘야외 술집’ 정도로 해석되는데, 날씨가 좋은 봄에서 가을까지 한시적으로 열었다가 닫는 경우가 많다. 디 눌도 지난 7월 말부터 2개월간 운영되고 있었다.

 

화면 캡처 2024-10-01 100959.jpg

‘세계 맥주 수도’로 불리는 독일 뮌헨의 시민들이 무알코올 비어가르텐(야외 술집) ‘디 눌’에서 취하지 않고도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디 눌 제공

 

 

겉보기에 여느 비어가르텐과 다를 바 없어 보이는 디 눌은 사실 ‘180도 다른’ 장르다. 알코올이 주가 되는 다른 비어가르텐과 달리 알코올이 섞인 음료를 전혀 팔지 않기 때문이다. 메뉴에는 목테일(Mocktail·무알코올 칵테일), 무알코올 맥주와 와인, 각종 탄산 음료와 과일주스 등이 빼곡하게 적혀 있고, ‘술을 원한다면 다른 장소를 찾아라’와 같은 안내가 곳곳에 나붙었다. 상호가 독일어로 ‘0’을 뜻하는 ‘눌’인 것도 ‘알코올 농도 0%’라는 뜻이다.

세계 3대 축제인 ‘옥토버페스트’(9월 중순~10월 초 열리는 맥주 축제)가 열리는, ‘세계의 맥주 수도’ 뮌헨에 ‘무알코올 비어가르텐’이 생긴 건 처음이다. 독일에 어떤 변화가 생기고 있는 것인지 뮌헨 현지에서 살펴봤다.

 

‘알코올 대체 음료 수요 증가’ 착안
디 눌은 뮌헨역 인근에서 ‘코스모스’라는 바 겸 카페를 운영하는 플로리안 쇤호퍼의 아이디어에서 탄생했다. 그는 한국일보 인터뷰에서 “2년 전쯤 문득 무알코올 맥주 등 알코올을 대체하는 음료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었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무알코올 비어가르텐 착안 계기를 설명했다. “알코올 대체 음료 수요가 10배는 늘었더라고요. ‘어라? 전문점을 차릴 만한데?’라는 생각이 막연하게 들었어요. ‘유흥’이라고 하면 흔히 클럽에서 술 마시기 등을 떠올리는 게 일반적인 상황에서 술 없이도 놀기 좋은 장소가 생긴다면 매력적인 대안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도 했고요.”

새로운 사업을 위해선 자금이 필요했지만 투자받기가 쉽지는 않았다. “기존 비어가르텐에서 무알코올 음료를 판매하고 있는데 굳이 무알코올 음료만을 파는 가게를 따로 차릴 필요가 있느냐”, “뮌헨 정체성과 어울리지 않는다” 등 회의적 반응이 나왔다고 한다. 디 눌과 도보 10분 거리에 위치한 한 바의 운영자도 익명을 전제로 한국일보에 “술을 안 마시는 이들에게는 카페라는 대안이 있지 않은가”라고 반문했다. 사실 쇤호퍼 생각에도 일반 비어가르텐에 비해 사업성이 떨어지는 일이었다. 한자리에서 맥주 1리터를 마시는 사람은 있어도 레모네이드 1리터를 마시는 이는 드물기 때문이다.

그러나 디 눌이 들어선 구식물원 공원에 위치한 ‘찰스 호텔’과 비어가르텐 ‘파크 카페’가 협력에 나서고, 뮌헨시가 부지 허가를 신속하게 내주는 등 강력하게 지원하면서 디 눌은 지난 7월 문을 열 수 있었다. 독일 빌트에 따르면 영업 첫날 디터 라이터 뮌헨 시장도 이곳을 찾아 ‘뮌헨 최초 무알코올 비어가르텐’의 화려한 시작을 알렸다.

 

화면 캡처 2024-10-01 101013.jpg

지난달 23일 독일 뮌헨의 한 유명 비어가르텐. 독일에서는 ‘야외 술집’으로 해석되는 비어가르텐에서 맥주를 즐기는 일이 흔하다. 뮌헨=신은별 특파원

 

“술 없는 ‘불금’ 좋아요!” 호응
회의적 전망과 달리 디 눌은 순항했다. 디 눌 운영을 총괄하는 막시밀리안 블린트후버에 따르면 80개 정도의 좌석을 갖춘 이곳을 하루 수백 명이 방문했다. 무엇보다 반응이 좋았다. 그는 “고맙다고 말하는 손님들이 많다”고 말했다. “건강, 알코올 중독 등 문제로 술을 피하고 싶은 이들, 어린이 또는 노약자와 동반해 취객을 되도록 멀리하고 싶어하는 이들 등이 이곳에서 안정감을 느끼는 듯 해요. DJ 공연을 즐기고 싶지만 술을 못 마시거나 싫어하는 이들도 만족해하고요. 청소년용 테크노 공연은 특히 호응이 뜨거웠어요.”

손님들 반응도 비슷했다. 오스트리아에서 놀러 온 친구와 이곳을 찾았다는 주민 엘라는 “’무알코올 비어가르텐’이라는 정보 없이 노래가 들리길래 방문했는데 평소에 술을 즐기지 않는 터라 이곳이 마음에 들었다”고 말했다. 독일인 소냐는 “독일의 많은 장소가 술과 연관돼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알코올을 아예 없앴다는 건 엄청난 시도”라고 말했다. “술집에서 술을 시키지 않을 때는 ‘정식 손님이 아닌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는데 이곳에서는 그런 느낌을 받지 않아도 돼서 좋다”는 손님도 있었다. 손님 중에는 어린 자녀를 안고 무알코올 맥주를 마시며 공연을 즐기는 아빠도 보였다.

 

술 ‘덜’ 마시게 된 독일 사회
디 눌이 순항한 건 단순히 ‘운이 좋아서’ 또는 ‘목이 좋아서’가 아니다. “알코올 대체 음료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는 것을 문득 깨달았다”는 쇤호퍼 말처럼 디 눌은 사실 알코올 소비가 줄고 있는 독일 사회의 ‘큰 흐름’을 탔다.

독일 통계 플랫폼 스타티스타에 따르면 2012년 137.8리터였던 독일 국민 1인당 알코올 소비량은 10년 뒤인 2022년 120.1리터로 떨어졌다. 10년 사이 12.8%(17.7리터)가 감소한 것이다. 독일 대표 주종인 맥주 시장에서 무알코올 맥주 비중이 꾸준히 늘고 있다는 점도 알코올 소비 흐름이 바뀌고 있다는 방증이다. 독일 연방통계청에 따르면 2012년 2억4,000만 리터였던 무알코올 맥주 양조량은 2022년 4억7,400만 리터로 두 배가량 늘었다.

독일이 술을 덜 마시게 된 이유는 뭘까. 니나 괼링어 독일양조협회 대변인은 원인을 이렇게 분석했다. “①고령화 ②건강 염려 증가 ③음료 시장의 다양성 확대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봐요.” 세계보건기구(WHO)도 지난 4월 “어떤 수준의 알코올 소비도 우리 건강에 안전하지 않다”는 ‘솔직한 선언’을 하는 등 술에 대해 더 높은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는 분위기가 커지고 있다.

괼링어 대변인은 이렇게도 덧붙였다. “④젊은 세대에서 ‘술을 책임감 있게 소비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크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습니다.” 1980년대부터 2000년대 사이 태어난 세대에서는 이전 세대보다 술을 안 마시거나 덜 마시려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분석이다. 의식적으로 술 소비를 제한하는 의식 및 태도를 일컬어 ‘소버 큐리어스’(Sober curious·술에 취하지 않은 상태를 지향한다는 뜻)라는 신조어가 생겼을 정도다.

 

화면 캡처 2024-10-01 101025.jpg

 

독 정치권도 “술 문화 바꾸자”
이러한 분위기를 이어가려는 듯 독일 정치권도 음주 관련 기준을 강화하고자 팔을 걷어붙였다. 알코올 섭취량이 줄고 있다고는 해도 독일이 여전히 유럽에서 최상위권에 속할 정도로 술을 많이 마시는 나라인 것은 알코올 판매·구매 제도가 너무 느슨한 것과 관계가 크니 관련 제도를 정비하자는 것이다. 독일 연방 보건부가 최근 ‘14~16세 청소년이 보호자와 동반할 경우 맥주, 와인 등을 마셔도 된다’는 내용의 법을 폐지하겠다고 밝힌 게 대표적이다.

실제로 독일은 술에 관한 한 제한이 가장 적은 국가로 분류된다. 유럽 상당수 국가에서 술 판매권을 국가가 독점하거나, 특정 시간 또는 장소 외 알코올 판매를 제한하는 것과 달리 독일에서는 언제든 슈퍼마켓에서 알코올을 살 수 있다. 1유로(약 1,500원)도 안 되는 가격으로 맥주 1병을 살 수 있을 정도로 술값도 싸다. 도수가 높지 않은 축에 속하는 와인과 맥주를 구입할 수 있는 연령은 16세에 불과하다. 길거리에서는 물론 열차, 버스 등에서의 음주도 비일비재하다.

 

술 사랑하는 독일 균열의 시작점
알코올 수요가 줄고 음주 관련 기준이 강화되더라도 알코올을 사랑해 온 오랜 독일의 역사를 고려할 때 디 눌은 한동안 ‘예외적 장소’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 뮌헨에 거주하는 리암은 “디 눌이 반짝 주목을 받더라도 아침 식사를 맥주로 대신할 정도로 술을 사랑하는 독일 문화를 바꾸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23일 오후 8시 기준 디 눌에는 10팀 정도가 있었으나 바로 옆 파크 카페 손님 규모는 어림잡아 4배는 됐던 것도 무알코올 비어가르텐이 ‘대세’가 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에 힘을 보탠다. 디 눌에 입장하려다 술을 팔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발길을 돌린 이도 상당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 눌은 술을 사랑하는 독일에 ‘균열’이 생겼음을 상징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상당하다. 현지 언론 100곳 가까이가 디 눌을 앞다퉈 취재한 이유일 터다. 디 눌의 손님을 지켜보던 블린트후버는 말했다. “’사회를 바꾸겠다’거나 ‘바꿀 수 있다’는 거창한 목표가 있었던 건 아닙니다. 쉽지도 않을 거고요. 그래도 ‘어쩌면 술은 생각보다 덜 필요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도록 만드는 데는 기여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뮌헨=신은별 특파원

배너광고_이샤론.png

www.koreatimes.net/기획기사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

  • 코데코 록키엘크 녹용 & 공진단
  • 리쏘 (Lisso) 안마의자

댓글을 달아주세요

댓글운영원칙
'댓글'은 기사 및 게시글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온라인 독자들이 있어 건전한 인터넷 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 원칙을 적용합니다.

1. 댓글삭제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 하겠습니다.
  1. 1) 타인에 대한 욕설 또는 비판
  2. 2) 인신공격 또는 명예훼손
  3. 3) 개인정보 유출 또는 사생활 침해
  4. 4) 음란성 내용 또는 음란물 링크
  5. 5) 상업적 광고 또는 사이트/홈피 홍보
  6. 6) 불법정보 유출
  7. 7) 같은 내용의 반복(도배)
  8. 8) 지역감정 조장
  9. 9) 폭력 또는 사행심 조장
  10. 10) 신고가 3번 이상 접수될 경우
  11. 11) 기타 기사 내용과 관계없는 내용

2. 권한제한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 드립니다.

카테고리 기사

bc807004-53c8-40cc-a77d-f60e65328b1c.jpg
F

옷 사러 가니? 난 마시러 가!

09 Jun 2025    0    0    0
14d29081-6d9c-4ee7-91bf-0d9a074ed17d.jpg
F

생성형 넘어 행동형 AI 시대 온다

16 Jun 2025    0    0    0
21b1bc19-4bf3-4bc3-8e9f-857d53402753.jpg
F

거장의 디테일에 두 번 놀라는 ‘고문 공장’

16 Jun 2025    0    0    1
2091bc10-f632-44b6-81d9-04f153d8e705.jpg
F

“해킹된 자동차는 도로 위 무법자”

16 Jun 2025    0    0    0
ㄷㄹㅈㄴㄹㄷ.jpeg
F

‘7세 고시’ 한국의 자화상

16 Jun 2025    0    0    0
72293d78-47a2-487f-b6e4-a287073d9f14.jpg
F

“사회공헌·보람은 화이트해커 자부심”

16 Jun 2025    0    0    0


Video AD



오늘의 트윗

20250620-12062431.jpg
Opinion
조령모개·조삼모사
20 Jun 2025
0



  • 인기 기사
  • 많이 본 기사

복권.jpg
HotNews

2천만 불 당첨에도 정시 출근

11 Jun 2025
0
스크린샷 2025-06-12 134039.png
HotNews

산책 중 공습 주의… 붉은날개검은새의 방어 본능

12 Jun 2025
0
lg.jpg
HotNews

확 깎아준다...25일까지만

13 Jun 2025
0
kylie-anderson-agdilbe1kus-unsplash.jpg
HotNews

캐나다인 미국행 줄자 내수에 훈풍

13 Jun 2025
0
베이징.jpg
HotNews

"미국 대신 캐나다, 영국으로"

02 Jun 2025
0
c446cfc9-2e55-4c52-a56e-8fa6eee3da9c.png
CultureSports

“넷플릭스가 흙 뿌렸다”

09 Jun 2025
0
복권.jpg
HotNews

2천만 불 당첨에도 정시 출근

11 Jun 2025
0
john-mcarthur--ca8yhmkxfu-unsplash.jpg
HotNews

캐나다달러, 연말까지 72센트 전망

24 May 2025
0


500 Sheppard Ave. E. Unit 206 & 305A, North York, ON M2N 6H7
Tel : (416)787-1111
Fax : (416)781-8434
Email : public@koreatimes.net
광고문의(Advertising) : ad@koreatimes.net

캐나다 한국일보

  • 기사제보
  • 온라인지면 보기
  • 핫뉴스
  • 이민·유학
  • 부동산·재정
  • 주간한국
  • 업소록
  • 찾아오시는 길

한인협회

  • 한인문인협회
  • 한인교향악단
  • 한국학교연합회
  • 토론토한인회
  • 한인여성회
  • 한인미술가협회
  • 온주한인실협인협회

공익협회

  • 홍푹정신건강협회
  • 생명의전화
  • 생태희망연대

연관 사이트

  • 토론토총영사관
  • 몬트리올총영사관
  • 벤쿠버총영사관
  • 캐나다한국대사관
  • KOTRA

The Korea Times Daily 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The Korea Times Dail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