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핫뉴스
단톡방 대화 기억하는 AI 메이트
카카오, 새 채팅앱 ‘카나나’ 공개
-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
- Oct 28 2024 11:10 AM
‘이프카카오 AI 2024’ 비전 발표 내년 출시... “AI챗봇이 대화 도와” 개인용 ‘나나’ 일정 관리·문서 요약 그룹용 ‘카나’는 대화 맥락 이해도
카카오가 인공지능(AI) 메이트 서비스 ‘카나나’를 공개하고 AI 서비스 분야로 본격 진출한다. 카나나는 일상 대화 플랫폼이라는 카카오톡의 장점을 계승하면서도 그룹 채팅방의 대화 맥락을 이해하는 AI 조력자를 도입한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앱)이다.
카카오는 22일 경기 용인시 카카오 AI캠퍼스에서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 ‘이프카카오 AI 2024’를 열고 새 AI 서비스 ‘카나나(kanana)’를 처음 공개했다. 카나나는 카카오(kakao)·네이티브(native)·내추럴(natural)이라는 단어의 각각 앞 두 글자씩 따서 만든 카카오의 AI 브랜드다.
신규 앱인 카나나는 ‘AI 에이전트’를 넘어 ‘AI 메이트’를 표방했다. AI 챗봇인 개인 메이트 ‘나나’와 그룹 메이트 ‘카나’를 쓸 수 있다. 나나는 이용자의 모든 대화 내용을 기억하고 일정 관리, 문서 요약 등을 해 준다. 카나는 여러 사람이 모인 단톡방에 상주하면서 대화 내용과 맥락을 이해한다. 이상호 카카오 카나나엑스(AI 서비스) 성과 리더는 “기존 AI 서비스가 일대일 대화를 통해 도움을 제공한다면 그룹 단위로 도움을 줄 수 있는 AI는 카나나가 최초”라고 강조했다.
카카오는 경영 위기에 맞닥뜨리면서 AI 서비스 개발에서도 경쟁사 대비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시장에선 카카오가 사실상 전 국민을 이용자로 둔 카카오톡을 바탕으로 AI 서비스를 제공해 상황 반전을 꾀할 것으로 봤다. 하지만 카나나라는 별도 앱으로 등장하면서 신규 이용자를 끌어들이는 게 숙제가 될 전망이다.
실제 카나나는 채팅 앱으로서도 차별화에 나선다. ①이용자가 원하지 않는 메시지와 대화방이 넘쳐나는 ‘카톡 공해’를 줄이기 위해 서로가 동의한 친구만 추가해 대화할 수 있게 했고 ②대화방 초대도 참가자가 원할 경우에만 할 수 있다. 또 ③문자를 입력할 수 없는 경우 음성으로 메시지를 남기는 핸즈프리 기능도 넣었다. 새 앱은 사내 테스트를 거쳐 2025년 중 출시된다.
이날 카카오는 카나나 외에도 카카오톡과 카카오페이 등 기존 앱에 도입할 AI 서비스들도 소개했다. 기반 모델은 자체 개발 모델과 외부 모델을 모두 쓴다. 거대 기술기업(빅테크)이 크게 앞서 나가고 있는 기반 모델 경쟁보다 응용 서비스 창출에 초점을 맞추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자체 모델과 오픈소스 모델, 글로벌 언어 모델까지 병행 사용해 최상의 결과물을 내는 모델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이라면서 “수십조 단위의 AI 모델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으면서도 가장 실용적 해법으로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하겠다”고 말했다.
용인=인현우 기자
www.koreatimes.net/핫뉴스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