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핫뉴스
"러시아 파병 북한군 월 2천 불 받아"
현재 3천 명 이동...연말엔 1만여 명 달할 듯
- 캐나다 한국일보 (editorial@koreatimes.net)
- Oct 23 2024 09:40 AM
국정원 보고...군 현대화, 경제난 해소 목적
【서울】 국가정보원은 23일 현재까지 러시아로 이동한 북한 병력이 3천여명이며 오는 12월께는 총 1만여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조태용 국정원장은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 간담회에서 이같이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동향을 보고했다.
러시아 파병 북한군이 현지에서 보급품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는 사진. 연합뉴스
국정원은 북한 병력 1,500명이 지난 8∼13일 1차 수송 당시 러시아로 이동한 이후 1,500여명이 추가 파병된 것으로 파악했다.
국정원은 파병 북한군에 대해 "전투 현장에 파병되진 않았고 러시아 내 다수 훈련시설에 분산돼 현지 적응 중인 것으로 보인다"며 "군사 장비 사용법·무인기 조종 등 특수교육도 진행되고 있다"고 보고했다.
러시아 군 내부에서 한국어 통역 자원을 대규모 선발하는 동향도 확인됐다.
국정원은 또 "군사훈련에 참여한 러시아 교관들은 파병 북한군의 체력과 사기는 우수하나 드론 공격 등 현대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전선 투입 시 사망자가 다수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고 보고했다고 한다.
러시아의 북한군 파병 대가는 1인당 월 2천 달러 수준이다.
북한 내부에서는 당국이 파병 사실을 일절 외부에 알리지 않고 있지만 점차 소문이 유포되는 상황으로, '선발 군인 가족이 오열해 얼굴이 상했다'는 말도 회자한다고 한다.
국정원은 북한 당국이 철저한 입단속과 파병군인 가족에 대한 효과적 통제·관리를 위해 이들을 모처로 집단 이주·격리하는 정황도 포착했다고 한다.
파병 논의 시점은 지난 6월 북한과 러시아가 체결한 '전쟁 상태에 처하면 지체 없이 군사원조를 제공한다'는 내용의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관계에 관한 조약' 체결 이후로, 지난달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의 방북 직후 파병 절차에 대한 논의가 개시됐다.
국정원은 파병 의도에 대해선 북-러 군사동맹 고착화, 유사시 러시아의 한국 개입 유도, 경제난 돌파구 마련, 군 현대화 가속 필요성 등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국정원은 파병된 북한군이 탈영했다는 현지 매체 보도에 대해선 별도로 보고하지 않았다.
www.koreatimes.net/핫뉴스
캐나다 한국일보 (editorial@koreatime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