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
  • 핫뉴스
  • 부동산·재정
  • 이민·유학
  • 문화·스포츠
  • 주간한국
  • 오피니언
  • 게시판
  • 기획기사
  • 업소록
  • 지면보기
  • 광고문의
  • 기사제보
  •     Tel: (416) 787-1111
  •     Email: public@koreatimes.net
  • LOGIN
  • CONTACT
  • 후원
  • 기사검색
  • LOGIN
  • CONTACT
  • 기사제보
  • 광고문의
  • CultureSports 테니스 스타들 토론토 뜨겁게 달군다
  • HotNews 무더위에 대기오염마저 심화
  • HotNews 웨스트젯 승객들 긴급 대피
  • HotNews 산불 탈출작전에 공군기 투입
  • CultureSports 미협 연례전-4
  • HotNews 입양동포대회 11월 인천·부산서
  • CultureSports "건강이 최고"
  • CultureSports '18번 홀의 기적'
  • HotNews "북한에서 인권침해 당했다"
koreatimes logo
  • 지면보기
  • 핫뉴스
  • 문화·스포츠
  • 주간한국
  • 이민·유학
  • 부동산·재정
  • 자동차
  • 오피니언
  • 게시판
  • 업소록
  • 후원
  • 기사검색

Home / 부동산·재정

MG 오토 세일

캐나다 중앙은행은 어떤 경로로 모기지 금리에 영향을 줄까?

헌팅턴크로스모기지 칼럼


  •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
  • Oct 24 2024 08:49 AM


■ 정책금리 변동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
시장금리가 장기적으로 어떻게 움직일지는 아무도 모른다. 그러나 가까운 장래의 시장금리는 캐나다 중앙은행이 발표하는 정책금리의 변동추세를 보고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하므로 모기지 금리를 선택함에 있어 정책금리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이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게다가 모기지는 상환기간(Amortization)이 긴 반면 계약기간(Term)은 통상 1년에서 5년이므로 계약갱신(Renewal)이 주기적으로 일어나고 때로는 계약변경(Refinancing)의 상황도 생기기 때문에 모기지 금리의 선택은 한 번으로 끝나지 않고 계속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모기지를 받았거나 받을 분들은 정책금리의 변동추세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하고 그럼으로써 자신에게 유리한 모기지 금리를 선택할 수 있다.

 

close-up-woman-s-hand-giving-house-key-man-wooden-table.jpg

게티이미지뱅크

 

 

■ 미국의 정책금리 변동이 중요한 이유
세계경제뉴스 중심에는 항상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The Federal Reserve System)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FOMC)가 있는데, 미국달러화는 기축통화이기 때문에 FOMC가 정책금리를 조정할 경우 세계 금융시장 및 외환시장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캐나다를 비롯한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이 자국의 사정에 맞게 독립적으로 정책을 수행하지만 미국 FOMC의 결정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것이 엄연한 현실이다. 따라서 미국의 금리가 어떻게 움직이는가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


■ 캐나다 중앙은행의 구체적인 목표는 무엇일까?
캐나다 중앙은행(Bank of Canada, BOC)은 “통화가치 보존(preserving the value of money)”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낮고 안정적인 인플레이션의 유지(keeping inflation low and stable)”를 중간목표로 두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BOC는 1%에서 3%의 관리구간(control range, target range) 내에서 중간지점인 2%의 인플레이션을 목표로 정책금리(policy interest rate)를 조정하여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고 있다.


■ 캐나다 중앙은행의 정책금리는 무엇을 말하는가?
정책금리는 기준금리라고도 불리며 금융기관 간의 1일물 자금거래에 적용되는 금리(overnight rate)를 말한다. 금융기관들은 하루의 영업이 끝나면 그 날의 입출금에 따른 자금의 과부족을 해소하기 위하여 하룻동안 서로 자금을 빌리거나 빌려주게 되며 이러한 정산과정은 매영업일 반복된다. 금융기관들은 자금이 남으면 BOC에 예금을 하고 반대로 부족할 경우 BOC로부터 대출을 받을 수도 있는데 이때의 예금금리(deposit rate)가 바로 정책금리다. 한편 BOC는 예금금리 즉 정책금리에 일정율을 더하여 대출금리(bank rate)를 정하며 현재는 0.25%의 간격(operating band)을 두고 있다. 참고로 한국은행의 경우 조정자금예금금리와 조정자금대출금리 간에는 1%의 간격을 두고 중간금리를 정책금리로 채택하고 있으며 BOC도 2020년 이전에는 0.5%의 간격을 두고 중간금리를 정책금리로 채택하였었다.


■ BOC는 1년에 8번의 정해진 날짜에 정책금리를 변경한다.
BOC는 금융기관으로 하여금 BOC가 정한 정책금리를 기준으로 자금의 과부족을 해결하도록 함으로써 주요 상업은행의 프라임 금리는 물론 예금상품의 금리 등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에 따라 모기지 금리도 영향을 받게 된다. 그리고 BOC는 1년에 8번의 정해진 날짜에 정책금리의 변경을 결정함으로써 시장의 충격을 줄이고 불확실성을 완화시켜 경제주체들의 원활한 경제활동을 돕고 있다. 이렇게 일정한 기간을 두고 미리 정해진 날짜에 정책금리의 변경 또는 유지가 결정되므로 누구든 관심을 가진다면 비록 단기이지만 시장금리의 향후 추세를 가늠할 수 있다.


■ 2024년과 2025년의 계획된 정책금리 변경일은 다음과 같다.
Schedule for 2024

January 24 (5.00%)
March 6 (5.00%)
April 10 (5.00%)
June 5 (4.75%)
July 24 (4.50%)
September 4 (4.25%)
October 23
December 11
Schedule for 2025
January 29
March 12
April 16
June 4
July 30
September 17
October 29
December 10

 

screenshot 2024-10-24 at 9.45.46 pm.jpg

 

배너광고---기본.png

www.koreatimes.net/부동산·재정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

  • 코데코 록키엘크 녹용 & 공진단
  • 리쏘 (Lisso) 안마의자

댓글을 달아주세요

댓글운영원칙
'댓글'은 기사 및 게시글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온라인 독자들이 있어 건전한 인터넷 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 원칙을 적용합니다.

1. 댓글삭제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 하겠습니다.
  1. 1) 타인에 대한 욕설 또는 비판
  2. 2) 인신공격 또는 명예훼손
  3. 3) 개인정보 유출 또는 사생활 침해
  4. 4) 음란성 내용 또는 음란물 링크
  5. 5) 상업적 광고 또는 사이트/홈피 홍보
  6. 6) 불법정보 유출
  7. 7) 같은 내용의 반복(도배)
  8. 8) 지역감정 조장
  9. 9) 폭력 또는 사행심 조장
  10. 10) 신고가 3번 이상 접수될 경우
  11. 11) 기타 기사 내용과 관계없는 내용

2. 권한제한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 드립니다.

아래의 기사를 추천합니다

기사제목 작성일
새로운 모기지 정책 개정: 변동 배경, 변화 내용, 기대 효과 및 단점 20 Nov 2024
2024년 캐나다 금리 인하: 모기지 전략과 부동산 시장 전망 07 Nov 2024
캐나다 중앙은행은 어떤 경로로 모기지 금리에 영향을 줄까? 24 Oct 2024
Mortgage Creditor Insurance (모기지 채권자 보험) 09 Oct 2024
프라이빗 렌더를 선정시 고려해야 할 사항 26 Sep 2024
프라이빗 모기지의 장단점 12 Sep 2024

카테고리 기사

adobestock_234457529.jpg
R

고금리 시대, 부채 통합이 필요한 이유와 전략

09 Jul 2025    0    0    0
adobestock_1557468052_.jpg
R

넓은 땅을 가진 단독주택의 가치가 올라가는 이유 <하>

09 Jul 2025    0    0    0
주택.jpg
R

GTA 주택거래 '깜짝' 증가

04 Jul 2025    0    0    0
adobestock_1236207150.jpeg
R

시장 전망 및 하이라이트

02 Jul 2025    0    0    0
adobestock_977725250.jpeg
R

모기지 다운페이먼트(자금 출처와 검토 기준)

26 Jun 2025    0    0    0
adobestock_393535442_.jpg
R

넓은 땅을 가진 단독주택이 가치가 올라가는 이유 <중>

11 Jun 2025    0    0    0


Video AD



이애니 부동산 로얄은행 한인금융센터 - 문세훈 (모기지) 황소정 부동산 더드림 파이낸셜 그룹-김상식 모기지 Huntington Cross Mortgage(Verico)- 유선영 모기지 김정숙 부동산 라임트리 파이낸셜 - 박상화 모기지 김미경 모기지

오늘의 트윗

mjdokvjm2eyrcitmh7lo5d2msu.jpg
Opinion
부정의 쳇바퀴 영원히 대물림?
29 Jun 2025
0



  • 인기 기사
  • 많이 본 기사

스크린샷 2025-06-29 112735.png
HotNews

룰루레몬, "코스코가 짝퉁 판매" 소송

29 Jun 2025
0
스크린샷 2025-06-29 094846.png
HotNews

SIN, 이제는 만능 열쇠 아닌 보안 구멍

29 Jun 2025
0
adam-wilson-6uionphza5o-unsplash.jpg
HotNews

캐나다, 미 주류 보이콧에 판매 급감

29 Jun 2025
0
스크린샷 2025-06-30 092749.png
HotNews

정부 입력 실수로 OAS 지급 지연

30 Jun 2025
0
스크린샷 2025-06-26 144113.png
Feature

캐나다, 어쩌면 돈 방석?

25 Jun 2025
0
스크린샷 2025-06-29 112735.png
HotNews

룰루레몬, "코스코가 짝퉁 판매" 소송

29 Jun 2025
0
캐나다 깃발3 언스플래쉬.jpg
HotNews

캐나다 떠나는 국민, 역대 두 번째 많아

03 Jul 2025
0
sbgds.jpeg
CultureSports

2026 세계대학순위 발표

23 Jun 2025
0


500 Sheppard Ave. E. Unit 206 & 305A, North York, ON M2N 6H7
Tel : (416)787-1111
Fax : (416)781-8434
Email : public@koreatimes.net
광고문의(Advertising) : ad@koreatimes.net

캐나다 한국일보

  • 기사제보
  • 온라인지면 보기
  • 핫뉴스
  • 이민·유학
  • 부동산·재정
  • 주간한국
  • 업소록
  • 찾아오시는 길

한인협회

  • 한인문인협회
  • 한인교향악단
  • 한국학교연합회
  • 토론토한인회
  • 한인여성회
  • 한인미술가협회
  • 온주한인실협인협회

공익협회

  • 홍푹정신건강협회
  • 생명의전화
  • 생태희망연대

연관 사이트

  • 토론토총영사관
  • 몬트리올총영사관
  • 벤쿠버총영사관
  • 캐나다한국대사관
  • KOTRA

The Korea Times Daily 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The Korea Times Dail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