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핫뉴스
공연 티켓 가격 변동, 독점 기업 때문일까
재판매 가격 한도 20%로 제한해야
- 유희라 기자 (press1@koreatimes.net)
- Nov 08 2024 02:31 PM
인기 있는 공연이 매진되면 재판매 사이트에 원가의 몇 배에 달하는 가격으로 올라오는 티켓을 울며 겨자먹기로 구매해야 하는 팬들이 늘고 있다.
일부 관객들은 심화되는 티켓 재판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티켓 산업을 독점하고 있는 기업에 제재를 가해야 한다고 말한다.
또 다른 관객들은 소비자의 요구가 있는 한, 독점 기업 제재는 소용이 없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인기 있는 공연이 매진되면 재판매 사이트에 원가의 몇 배에 달하는 가격으로 올라오는 티켓을 울며 겨자먹기로 구매해야 하는 팬들이 늘고 있다. 게티이미지
재판매 대기업 스텁허브(StubHub) 북미 정부 관계 책임자 케빈 캘러핸에 따르면, 주요 공연장의 1차 좌석의 80%와 재판매 좌석의 증가하는 점유율은 스텁허브의 주요 경쟁사인 티켓매스터가 판매하고 있다.
미국 법무부와 30개 주 및 지방 검찰총장은 티켓매스터와 모회사 라이브네이션이 미국에서 라이브 이벤트에 대한 독점을 운영한다고 비난했으며, 두 회사를 상대로 제기된 소송을 이용해 두 회사를 해체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또한 티켓매스터와 라이브네이션이 공연장에서 다른 티켓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을 차단하고, 위협으로 간주되는 소규모 업체를 인수했으며, 경쟁사와 협력하는 공연장에 대한 보복 조치를 취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댄 월 라이브네이션의 기업 및 규제 업무 담당 부사장은 소송에서 제기된 주장과 라이브네이션과 티켓매스터의 현재 사업이 업계에 해를 끼친다는 개념에 동의하지 않는다.
그는 "공연 티켓이 재판매된다고 해서 아티스트들이 착취당했다고 느끼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스텁허브와 비비드시트 등의 경쟁업체가 생겨남에도 불구하고 티켓매스터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한다.
마이클 라피노 라이브네이션 최고경영자는 티켓 재판매 가격을 20% 인상으로 제한하는 법안을 제안하고 있다.
이는 재판매 전문업자와 AI를 다루기 위한 것이다. 티켓을 재판매하는 사업은 매우 수익성이 높아져 북미에서만 팬들에게 연간 50억 달러의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고 추정한다.
예를 들어, 이번 달 말에 토론토에서 열리는 테일러 스위프트의 에라스 투어 패스 중 일부는 스텁허브에서 2만 달러에 가까운 가격으로 판매되었고, 브루스 스프링스틴의 최근 토론토 공연 무대 뒤쪽 좌석은 공연 며칠 전 티켓마스터에서 500달러에 가까운 가격으로 재판매됐다.
캐나다에서는 온타리오주의 이전 자유당 정부가 티켓 재판매 가격을 원래 가격보다 50% 더 높게 제한하는 법안을 제출했지만, 현재 집권 중인 진보 보수당은 이 규정을 시행 불가능하다며 거부했다.
캘러핸은 "가격 상한선으로는 수요를 조절할 수 없다"며 재판매 가격 제한을 반대했다.
그는 또한 가격 제한이 티켓 진위 여부나 환불 보장이 없는 시장으로 몰고 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캐서린 무어 토론토대학교 음악 사업학부 겸 겸임교수는 티켓 가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많은 문제는 티켓이 재판매 사이트에 올라오기 훨씬 전부터 발생한다고 말했다.
공연자가 투어 일정을 발표하고 티켓 판매 일정을 정해도 팬들에게 좌석 가격이 얼마인지, 얼마나 많은 좌석이 판매되는지 알려주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일부 티켓 사이트는 공연장의 수용 인원에 대해 알려주지만, 뉴욕 법무 장관실의 2016년 보고서에 따르면 평균적으로 최초 공개 판매 시 좌석의 46%만 판매된다. 인기 공연의 경우 그 비율은 25%로 떨어지고, 저스틴 비버가 2012년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한 두 콘서트의 경우 그 비율은 15%로 더 낮았다.
일반 판매 기간 동안 판매되지 않는 티켓은 아티스트에게 제공되거나, 팬 클럽에 할당되거나, 특정 신용 카드 소지자 또는 일부 스폰서의 고객에게 판매된다. 일부는 공연 며칠 또는 몇 시간 전에 판매가 시작된다.
무어는 팬들이 각 단계에서 얼마나 많은 좌석을 놓고 경쟁하는지 알 권리가 있다고 말했다.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티켓 가격을 인상하는 경우도 있다. 드레이크, 해리 스타일즈, 폴 매카트니의 공연이 이러한 전략을 사용했다.
월은 티켓마스터가 아티스트와 관계자에게 판매 분석 정보를 제공하며, 아티스트와 관계자는 티켓매스터에 가격을 변경을 지시하거나 회사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직접 결정을 내릴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가격이 변경될 때는 대부분 아티스트와 관계자가 "수요가 예상과 다르다고 판단해 가격을 변경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경우 사이트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가격 변동을 알아차리고 플랫폼을 비난하게 된다.
무어는 정부가 이를 규제하기 전까지는 고객의 항의가 별다른 변화를 가져오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www.koreatimes.net/핫뉴스
유희라 기자 (press1@koreatime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