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핫뉴스
美·유럽 시장 막히자, 한국으로 핸들 꺾은 중국
소비 규모·접근성··· 韓시장 눈돌려
-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
- Jan 24 2025 01:27 PM
한국 기업들 경쟁 심화, 고용도 영향 美견제 회피용 수출 거점 가능성도 “中 투자유치 신중··· 체질개선 필요”
중국 기업들이 한국 시장에서의 움직임을 키우면서 국내 내수 시장을 놓고 경쟁이 치열해질 거란 전망이 나온다. 게다가 중국 제품이 과거에 비해 확 올린 품질로 가성비까지 끌어올린 터라 이같은 공습이 단기간에 끝나지 않을 거란 예측이 지배적이다. 더 나아가 좁아진 수출길을 넓히기 위해 한국에 투자해 거점으로 이용할 거란 전망도 나온다. 이에 전문가들은 한국 기업들이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차별화 전략을 짜고, 투자를 받을 때에도 추후 미국 등으로부터의 불이익 가능성은 없을지 따져보고 결정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인공지능(AI)에 중국이 한국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전략을 짜는 모습을 그려달라고 주문해 나온 결과물. 달리3·오지혜 기자
중국에 한국은 ‘돈’ 되는 시장이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중국은 정부 주도 제조업 육성정책을 통해 전통적 제조업뿐만 아니라 전기차·배터리·태양광 등 신산업에까지 빠르게 경쟁력을 갖춰 나갔다. 2022년 상장 기업(5,260개)의 99% 이상이 보조금을 받은 것으로 파악된다는 독일 싱크탱크 세계경제연구소의 연구 결과도 있다.
그런데 2023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리오프닝 이후 나타난 소비 진작이 다음해로 이어지지 않았고 자국 내 공급이 수요를 초과했다. 2024년 중국의 소매 증가율(11월 기준)은 3.5%로 2023년(7.2%)보다 떨어졌다. 중국은 물건을 싼 값에 해외 시장에 밀어넣었고 세계 곳곳으로 공급 과잉 현상이 번졌다. 미국과 유럽연합(EU) 등은 자국 시장을 보호하기 위해 규제 강도를 올리고 있다.
조니 우 샤오미코리아 사장이 15일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신제품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그는 "제품 구매부터 체험, 사후관리까지 한 공간에서 모두 제공하는 오프라인 매장 개설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샤오미코리아 제공
김동수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내수만으로도 어려운 데다가 미국·유럽 수출길이 막히니 가깝고 시장 규모도 제법 큰 한국을 선택한 것”이라며 “한국이 수출을 위해 과거 중국을 이용한 것과 같은 양상”이라고 해석했다. 즉 안팎으로 물건 팔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 되자 한국 진출을 본격화했다.
중국 소매 판매 전년 동월 대비 증감율. 그래픽=이지원 기자
이 같은 중국산 공습은 과거에 비해 한국 내 시장에도 영향이 클 것으로 보인다. 제조업 경쟁력이 전반적으로 올라간 덕에 제품 품질과 가성비가 좋아져 소비자를 끌어들이기 충분해서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북경사무소 소장을 지낸 이상훈 연구위원은 “국내 기업들은 소비가 흩어지니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고용도 지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한국 기업이 위기 극복을 위해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김 위원은 “우리는 프리미엄 시장을 어떻게 지켜갈지 중국 제품이 갈 수 없는 곳에서 반사이익을 어떻게 얻을지 전략을 짜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4년 11월 21일 중국 광둥성 선전에 마련된 시승장에 있는 비야디의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 아토3. 선전=뉴시스
중국 기업들이 한국을 수출 거점으로 삼을 수 있다는 예측도 있다. 도널드 트럼프 2기 출범 등으로 중국산 제품 수출이 더 까다로워질 수 있어서다. 이럴 때 한국과 협력해 물건을 만들면 중국산 꼬리표를 떼고 물건을 팔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한국을 우회 수출로로 사용하는 셈이다. 실제 르노그룹은 중국 지리자동차와 컨소시엄을 맺고 ‘폴스타4’를 르노코리아 부산 공장에서 위탁 생산하기로 했다.
최재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지역에 투자를 유치한다는 장점도 있지만 멕시코·캐나다에 우회 수출 금지 으름장을 놓은 트럼프 2기가 한국까지 문제 삼으면 한국 자동차 산업 수출 전반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했다. 조성대 무역협회 통상연구실장도 “(전기차 외) 다른 분야로 원산지 조사 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해당 지방자치단체와 기업에도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오지혜 기자
www.koreatimes.net/핫뉴스
미디어1 (media@koreatime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