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핫뉴스
한양대동문회 자선사업에도 활발
2020년 이후 1만6천 불 기부
- 김명규 발행인 (publisher@koreatimes.net)
- Jan 27 2025 05:19 PM
올해 첫 모임 1일...새 회장단 선출
한양대학교 토론토 총동문회(회장 채재홍)가 2025년도 새해 모임을 오는 2월1일(토) 낮 12시 쏜힐 한식당 사리원 (7388 Yonge St. 905-881-5103)에서 갖는다.
안건은 친목과 회원소식 나누기 등이며 2024년도 결산보고 및 2025년 신임회장단 선거가 있다.
한양대학교 캠퍼스. 한양대학교 웹사이트
참가비는 무료. 단, 동문과 동반자들은 파티 준비상 이메일로 참석여부를 알려야 한다.
연락처: 이영희 이사 young7525@gmail.com
토론토를 위시한 광역토론토(GTA) 지역 한양대 동문 중 상당수가 한인사회나 캐나다사회에서 활발하게 활동한다고 동창회 임원들은 추산했다.
특히 토론토를 비롯한 온타리오주 동문들은 이제까지 한인사회에 많은 금전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고 채재홍 회장은 말했다. 대개 교민들은 소속된 교회·사찰 등 종교단체를 통해 요양원 건립모금이나 불우이웃돕기 운동에 참가하는데 한양대 동문들은 이에 덧붙여 동문회 이름으로도 기부를 외면하지 않았다는 것.
이중 일부만 보면 ….
**2021년 아리랑요양원 돕기 1만5천 달러.
**2022년 전쟁 발발 우크라이나 돕기 500달러(대학동창회 중 유일)
**2023년 튀르키예(터키) 대지진 구호금 500달러 등 총 1만6천 달러를 기부했다.
한양대 출신 토론토 거주자 중에서는 고 김병극 사장을 잊을 수 없다. 그는 한인 기부자들 중 가장 큰 기부자 그룹을 이룬 기업인이었다.
고 김병극씨.
그외 동문들을 살펴보면, 여동원 수필가(작고), 윤정림 아리랑요양원 설립자, 조성호 사업가, 남궁영수 건축가, 이재용 토목가, 이철용 건축가, 문인식 사업가, 남영일 홈인스펙터, 심상욱 이민컨설턴트, 김형근 엔지니어, 유동환 재정상담가, 김규철 사업가, 이영희 모기지 에이전트 등이다.
“새해에도 동문들간의 교류를 통해 사랑을 실천하고 크고 작은 우리 사회의 도움이 필요한 곳을 보살피고자 한다”고 채 회장과 임원들을 전한다.
-2024년 동문회 임원
채재홍 회장: (647)882-5109, 정용기 부회장: (905)514-8585, 이영희 재무이사: (416)302-8990
한양대학교 캐나다 동문회 이념 : 사랑의 실천(愛之實踐)
모교 슬로건: The Engine of Korea
한양대는 학교법인 한양학원 산하의 4년제 종합 수도권 사립대학으로 서울시 성동구에 있다. 분교로 에리카(ERICA )캠퍼스를 경기도 안산에 두었다. 재학생(대학) - 서울본교 1만6, 531명, 에리카 안산 분교 1만404명 = 총 2만6,935명. 또한 온라인 수업방식의 한양사이버대학교도 국내에서 1위를 차지하며, 학사·석사·박사 과정이 있다.
대학원 서울 8,176명, 에리카 1,774명 = 총 학생수 약 3만7천 명.
설립: 1939년 김연준 박사가 설립한 동아공과학원(토목과, 광산과, 건축과 3개과, 2년제)이 주춧돌이었다. 1959년 종합대학으로 개편, 현재의 교명으로 개칭했다. 법학전문대학원, 의과대학, 약학대학(ERICA)이 있으며 부속으로 한양대학교병원을 두었다. 한양 여자대학교도 설립됐다. 설립자는 찬송가와 가곡 작곡자이며 캠퍼스 내에 대학교회를 설치했지만 한양학원은 비종교적 일반 학교법인이다. 교회 참석은 자유, 단, 모든 교내 행사는 교목(校牧)의 축도로 마무리한다.
캠퍼스가 산(山)에 건설되었고 특히 정상에 자리잡은 인문대, 자연대, 사범대는 서울의 야경을 시야에 담는다.
일제강점기 막바지 1942년 신입생 모집 중지 명령을 받았고 1944년 폐교.
2024년 학부: 공대, 의대, 인문과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정책과학, 경제금융, 경영대학, 사범대학, 생활과학대학, 음악, 예술·체육, 국제학, 간호, 산업융합 학부가 있다.
한양여자대학교는 75년 첫 입학생이 등교했다. 29개 학과. 이중 16개는 4년제. 서울 성동구 사근동 위치.
언론사 ‘한국경제’의 대학 종합합평가는 아래와 같다. (전국 50개 대학을 대상으로 교육의 질, 연구의 질, 산학협력 및 기술 실용화, 창업 및 취업 지원 등 네 개의 부문을 평가.)
◆2016년, 2017년 1위 ◆2018년 3위 ◆2019년 2위 ◆2020년 4위 ◆2021년 4위
인문계열 순위
(만점 250)
1. 서울대 183
2. 고려대(안암) 165
서강대 165
3. 성균관대 152
이화여대 152
6. 중앙대 146
7. 연세대(서울) 145
8. 건국대(서울) 142
9. 한양대(ERICA) 139
10. 경희대 136
11. 동국대(서울) 132
12. 한국외국어대 131
13. 한림대 129
14. 숙명여대 127
인하대 127
저·역서당 피인용(회)
1. 서울대 0.98
2. 서강대 0.84
3. 충남대 0.83
4. 동국대(경주) 0.80
5. 덕성여대 0.73
6. 중앙대 0.71
7. 숙명여대 0.66
8. 대전대 0.62
9. 고려대(세종) 0.58
10. 단국대 0.55
연세대(서울) 0.55
12. 고려대(안암) 0.53
13. 청주대 0.52
14. 동국대(서울) 0.51
수원대 0.51
국내 학술지 논문당 피인용(회)
1. 건국대(서울) 1.56
2. 고려대(안암) 1.24
3. 인하대 1.23
4. 서울대 1.21
5. 성균관대 1.14
6. 원광대 1.13
7. 이화여대 1.08
8. 숙명여대 1.07
9. 안동대 1.06
연세대(서울) 1.06
11. 경상대 1.05
12. 군산대 1.03
중앙대 1.03
14. 한밭대 1.02
대전대 1.02
www.koreatimes.net/핫뉴스
김명규 발행인 (publisher@koreatime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