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
  • 핫뉴스
  • 부동산·재정
  • 이민·유학
  • 문화·스포츠
  • 주간한국
  • 오피니언
  • 게시판
  • 기획기사
  • 업소록
  • 지면보기
  • 광고문의
  • 기사제보
  •     Tel: (416) 787-1111
  •     Email: public@koreatimes.net
  • LOGIN
  • CONTACT
  • 후원
  • 기사검색
  • LOGIN
  • CONTACT
  • 기사제보
  • 광고문의
  • HotNews "여름철 청년 일자리 6천 개 더"
  • HotNews 18세 미만 비아레일·박물관 등 무료
  • HotNews 오타와 홀린 킴스 생막걸리
  • HotNews 에어인디아 추락...캐나다 치과의사 등 200여 명 사망
  • HotNews 우편공사 노사 갈등 마침표?
  • HotNews 에어로플랜 포인트 도난 피해 속출
  • WeeklyKorea 카리브 문화 축제, 토론토서 개최
  • HotNews 도서관 고문헌, AI에 제공된다
  • HotNews 산책 중 공습 주의… 붉은날개검은새의 방어 본능
koreatimes logo
  • 지면보기
  • 핫뉴스
  • 문화·스포츠
  • 주간한국
  • 이민·유학
  • 부동산·재정
  • 자동차
  • 오피니언
  • 게시판
  • 업소록
  • 후원
  • 기사검색

Home / 오피니언

세계 속 한국에 필요한 대통령

2025 대선을 앞두고


  • 최이지수 기자 (media2@koreatimes.net)
  • May 23 2025 01:23 PM

감정의 정치에서 실력의 정치로 해외에서 본 두 대선 후보


멀어진 자리에서 더 잘 보이는 것들

해외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에게 조국의 정치는 여전히 뜨겁고 가깝다. 지금의 한국 정치 현실은 피로하며, 위험하고, 깊이 갈라져 있다. 그렇기에 멀리서 바라보는 시선은 냉정하고 더욱 소중하다. 2025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우리는 다시금 근본적인 질문을 던져야 할 때다.
"누가 더 미운가"가 아니라, "누가 더 잘할 수 있는가"를 묻는 시간이다.

 

2c0681cd-b20c-46e2-b84f-a160bc7b003c.jpg

이재명 더불어민주당(왼쪽부터), 김문수 국민의힘, 이준석 개혁신당,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통령 후보가 23일 서울 영등포구 KBS본관 스튜디오에서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선거 2차 후보자 토론회 시작에 앞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뉴스1

 

감정의 정치, 언제부터 시작되었나

오늘날 한국 정치는 정책보다 감정에 의해 지지가 결정되는 양상을 띤다. 선거는 적대 진영과의 ‘대결력’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정서는 정책보다 강력한 선택의 기준이 되고 있다. 정치가 이토록 '편 가르기'에 집착하게 된 것은 언제부터였을까. 정치적 양극화의 심화는 단순한 시대 흐름이 아닌, 대한민국 민주주의 역사에서 전례 없는 사건으로부터 시작됐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국정농단 사태로 헌정 사상 처음 탄핵되었고, 문재인 정부는 전임 정권을 '적폐'로 규정하며 고강도의 수사를 이어갔다. 이 과정에서 정치적 갈등은 극에 달했고, 양당 간의 대결 구도는 일상화되었다.

이후 정치 경험이 전무했던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문재인 정부와의 갈등 속에 보수 진영의 대안으로 급부상했고 대선에서 근소한 차이로 당선되었다. 하지만, 정치 초보인 그에게 야당은 협력의 대상이 아닌 투쟁의 대상이었다. 야당 대표 이재명은 수차례 검찰 소환 조사를 받았고 국민들의 피로감은 누적되기 시작했다. 더불어 2024년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압승하면서 여소야대 구도가 굳어졌고, 정치 갈등은 정점을 찍었다. 윤 대통령은 결국 계엄령을 선포했고 국회는 탄핵 절차에 돌입했다. 대한민국 정치가 어디까지 파국으로 치달을 수 있는지를 극적으로 보여준 사례였다.

 

세계 속 한국에 필요한 리더십

윤석열 정부 이후 한국은 외교적 주도권과 국제 사회의 신뢰를 점차 상실해가고 있다. GDP 성장률 둔화, 한일 갈등 해결 실패, 계엄령 사태 이후 외교적 고립 등은 다음 정부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다.

이제 대한민국의 대통령은 국내 갈등을 조정하고, 외교·안보 분야에서 실질적인 해법을 제시할 수 있는 ‘실력 있는 리더십’을 갖춰야 한다.

 

외교·안보 전략의 두 갈래

이재명 후보는 미래 산업 중심의 다자 외교 복귀와 한반도 비핵화 재논의를 통한 평화 프로세스 복원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운다.

전략: AI·반도체 중심 미래 산업 육성, 외교 유연성 확보, 남북 대화 재개

장점: 군사적 긴장 완화, 중·러 등 다양한 외교 채널 확보 가능

한계: 북한의 진정성 문제, 시간 소요, 국내 보수 여론의 반발

김문수 후보는 한미동맹 강화를 바탕으로 한 억제력 중심 전략과 자체 핵 잠재력 확보를 주장한다.

전략: 실질적 군사력 강화, 단기 안보 대응 역량 확보

장점: 힘의 균형 확보, 단기간 억제력 가능

한계: 긴장 고조, 핵확산금지조약(NPT) 위반 가능성, 외교 고립 우려

 

대통령의 자격, 성과에서 찾아야

대통령은 감정으로 선택할 대상이 아니다. 업무 수행 능력, 정책 실현력, 위기 대응력 등을 중심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이재명 후보는 ‘흙수저 출신’으로 성남시장과 경기도지사를 역임하며 생활 밀착형 행정을 이끌어왔다. 성남시 채무 해결, 지역화폐 활성화, 높은 공약 이행률 등은 실용 행정의 대표 사례로 꼽힌다. 높은 비호감도는 동시에 그에 대한 견제와 관심이 크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김문수 후보는 서울대 법대를 졸업한 정통 엘리트로, 1970년대 노동운동가 출신이다. 이후 보수 정치로 전향해 경기도지사 재임 중 GTX 추진, 수도권 통합 요금제 도입 등 대중교통 인프라 확대에 기여했다. 한국 정치에서 보기 드문 이념 이동의 사례로 꼽힌다.

 

갈라진 나라에 필요한 사람

지금 대한민국 정치에는 ‘누가 나쁜가’를 외치는 목소리보다, ‘무엇이 필요한가’를 묻는 냉정한 자세가 요구된다.

대선을 앞둔 지금, 멀리 떨어진 곳에서 조국을 향해 이렇게 말하고 싶다.

“이제는 싸움을 멈추고, 일 잘하는 대통령을 만나고 싶다.”

 

www.koreatimes.net/오피니언

최이지수 기자 (media2@koreatimes.net)

  • 코데코 록키엘크 녹용 & 공진단
  • 리쏘 (Lisso) 안마의자

댓글을 달아주세요

댓글운영원칙
'댓글'은 기사 및 게시글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온라인 독자들이 있어 건전한 인터넷 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 원칙을 적용합니다.

1. 댓글삭제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 하겠습니다.
  1. 1) 타인에 대한 욕설 또는 비판
  2. 2) 인신공격 또는 명예훼손
  3. 3) 개인정보 유출 또는 사생활 침해
  4. 4) 음란성 내용 또는 음란물 링크
  5. 5) 상업적 광고 또는 사이트/홈피 홍보
  6. 6) 불법정보 유출
  7. 7) 같은 내용의 반복(도배)
  8. 8) 지역감정 조장
  9. 9) 폭력 또는 사행심 조장
  10. 10) 신고가 3번 이상 접수될 경우
  11. 11) 기타 기사 내용과 관계없는 내용

2. 권한제한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 드립니다.

카테고리 기사

그림1.jpg

나뭇잎이 꼭 초록색이 아니어도 괜찮다

10 Jun 2025    0    0    0
20250605-12061940 (1).jpg

진영감정 꺼져라, 우린 다시 화해한다

05 Jun 2025    0    0    0
aaron-burden-nxt5prob_7u-unsplash.jpg

대답

05 Jun 2025    0    1    0
boliviainteligente-kecrxz0m42a-unsplash.jpg

AI 시대, 문학은 어디에 서야 하는가

03 Jun 2025    0    1    0
7ba71a74-b6fa-44e6-8d93-4b3c0d125b5c.png

‘너에게 닿기를’·‘봄’...

26 May 2025    0    0    0
alicia-quan-kbybhj3cewi-unsplash.jpg

나누어 아프게 해 주세요

29 May 2025    0    0    0


Video AD



오늘의 트윗

20250605-12061940 (1).jpg
Opinion
진영감정 꺼져라, 우린 다시 화해한다
05 Jun 2025
0



  • 인기 기사
  • 많이 본 기사

lcbo.jpg
HotNews

LCBO 맥주가격 최대 50%↓

16 May 2025
0
스크린샷 2025-05-17 114726.png
HotNews

"벌금 장사 그만" 과속카메라 놓고 포드 정부-지자체 갈등

17 May 2025
0
치과2.jpg
HotNews

"1일 신청했더니 12일 카드 도착"

14 May 2025
0
개솔린.jpg
HotNews

온주 개솔린세 인하 영구화

13 May 2025
0
티웨이.jpg
HotNews

한-캐 항공시장에 지각변동 오나

13 May 2025
0
베이징.jpg
HotNews

"미국 대신 캐나다, 영국으로"

02 Jun 2025
0
lcbo.jpg
HotNews

LCBO 맥주가격 최대 50%↓

16 May 2025
0
마약.jpg
HotNews

한국 법원, 캐나다 시민권자에 징역 20년 선고

21 May 2025
0


500 Sheppard Ave. E. Unit 206 & 305A, North York, ON M2N 6H7
Tel : (416)787-1111
Fax : (416)781-8434
Email : public@koreatimes.net
광고문의(Advertising) : ad@koreatimes.net

캐나다 한국일보

  • 기사제보
  • 온라인지면 보기
  • 핫뉴스
  • 이민·유학
  • 부동산·재정
  • 주간한국
  • 업소록
  • 찾아오시는 길

한인협회

  • 한인문인협회
  • 한인교향악단
  • 한국학교연합회
  • 토론토한인회
  • 한인여성회
  • 한인미술가협회
  • 온주한인실협인협회

공익협회

  • 홍푹정신건강협회
  • 생명의전화
  • 생태희망연대

연관 사이트

  • 토론토총영사관
  • 몬트리올총영사관
  • 벤쿠버총영사관
  • 캐나다한국대사관
  • KOTRA

The Korea Times Daily 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The Korea Times Dail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