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
  • 핫뉴스
  • 부동산·재정
  • 이민·유학
  • 문화·스포츠
  • 주간한국
  • 오피니언
  • 게시판
  • 기획기사
  • 업소록
  • 지면보기
  • 광고문의
  • 기사제보
  •     Tel: (416) 787-1111
  •     Email: public@koreatimes.net
  • LOGIN
  • CONTACT
  • 후원
  • 기사검색
  • LOGIN
  • CONTACT
  • 기사제보
  • 광고문의
  • HotNews 토론토 최대급 '비도시게파크' 19일 오픈
  • HotNews "금리 동결 유지될 듯"…경제 전망 엇갈려
  • HotNews "4개월째 환급 못 받아"…CRA 불만 폭주
  • HotNews LA 클럽 앞 인파에 차량 돌진…30명 부상
  • HotNews CBC 등 캐나다 뉴스 기관, 챗GPT 제작자 고소
  • HotNews "켄싱턴마켓 주민 반대로 술 판매 허가 보류"
  • HotNews 누구나 뜨거운 차 안 아기 방치 가능성
  • HotNews 캐나다 복지 수급자 98% 빈곤선 아래
  • HotNews 캐나다 곳곳서 폭발물 발견…국방부 “손대지 말것”
koreatimes logo
  • 지면보기
  • 핫뉴스
  • 문화·스포츠
  • 주간한국
  • 이민·유학
  • 부동산·재정
  • 자동차
  • 오피니언
  • 게시판
  • 업소록
  • 후원
  • 기사검색

Home / 핫뉴스

MG 오토 세일

잔디 깎지 않기, 생태 회복 첫걸음

꽃가루 매개 곤충 보전을 위한 도시들의 변화


Updated -- Jun 17 2025 11:45 PM
  • 박해련 인턴기자 (press3@koreatimes.net)
  • Jun 17 2025 09:52 AM


세계 식물의 약 4분의 3이 이러한 꽃가루 매개자에 의존하고 있어 이들의 보전은 생태계 건강 유지에 필수적이다. 뉴브런즈윅대학교 생물학자 카우샬 라트나야케(Kaushal Rathnayake)는 그렇기에 꿀벌, 나비, 나방 등 꽃가루 매개 곤충의 서식지를 보호하는 일이 인간의 건강과 직결된 문제라고 주장했다.

라트나야케는 인간이 이들의 서식지와 먹이를 파괴하고 있으며, 곤충들에게 적대적인 환경을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기후변화가 곤충 멸종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는 만큼, 꽃가루 매개자를 보전하고 이들의 생존 여건을 개선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최근 ‘노 모우 메이(No-Mow May)’ 운동이 캐나다 전역으로 확산됐다. 이 운동은 한 달간 잔디를 깎지 않고 자연스럽게 자라도록 해 꽃가루 매개 곤충들이 겨울잠에서 깨어난 시기에 잘 살아남도록 돕자는 취지에서 시작됐다. 이와 함께, 라트나야케가 거주 중인 뉴브런즈윅(New Brunswick)에서는 2019년경부터 꽃가루 매개 정원이 확산되기 시작했으며, 최근에는 지방정부 차원에서도 꽃가루 매개 곤충을 위한 공간 조성이 추진되고 있다.

이처럼 정원이나 공원을 곤충 친화적으로 바꾸는 일은 개인의 참여뿐 아니라 도시 차원의 계획도 필요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 연구원 옌스 울리히(Jens Ulrich)는 3년간 밴쿠버 시와 함께 도시 공원에서 진행한 연구에서, 관리 방식을 조금만 바꿔도 꽃가루 매개 생물 다양성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18곳의 공원을 대상으로 절반은 기존처럼 관리하고, 나머지 절반은 잔디 깎는 빈도를 줄이고 야생화 씨앗을 뿌려 ‘꽃가루 초지(pollinator meadows)’를 조성했다. 이 연구는 지난해 말 학술지 ‘에콜로지 레터스(Ecology Letters)’에 발표됐으며, 초지 조성 이후 공원에서 관찰되는 꽃가루 매개 곤충의 종 수가 크게 증가했다. 울리히는 초지가 조성된 공원에서는 평균 60종의 곤충이 확인됐으며, 기존 방식으로 관리된 공원에서는 약 30종에 그쳤다고 밝혔다. 꿀벌, 광대파리, 광부벌, 땀벌 등 다양한 곤충이 초지가 생긴 후 세 해 동안 공원을 지속적으로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젝트의 성과에 따라 밴쿠버시는 9곳의 초지를 유지하기로 했으며, 이같은 형태의 공간을 더 많은 공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밴쿠버 공원관리위원회(Vancouver Parks Board)의 조경 설계가 잭 터퍼(Jack Tupper)는 2020년부터 2023년 사이 초지를 도입한 공원들이 생태계에 상당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그는 도심 내 600만 제곱미터에 달하는 잔디 중 약 7%인 42헥타르를 초지로 전환했으며, 2030년까지 10%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터퍼는 초지가 조성된 지역의 토양은 수분을 더 잘 유지하고 기온도 낮았으며, 탄소를 흡수하는 기능도 뛰어났다고 전했다. 또, 초지 공원에서는 균류와 지렁이 개체 수도 증가해 여름철에 더욱 균형 잡힌 생태환경을 유지할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밴쿠버시는 이번 연구 결과를 캐나다 내 다른 지방자치단체와 공유하며 유사한 정책 도입을 독려하고 있다.

 

william-warby-ttr6niw1m5u-unsplash.jpg
도시들이 꽃가루 매개 곤충 보호를 위해 공원 잔디를 초지로 바꾸며 생물 다양성 회복에 나서고 있다. 언스플래쉬


한편 라트나야케는 개인의 참여도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도시 공원보다 뒷마당의 수가 훨씬 많기 때문에, 시민 개개인의 정원이 모이면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꽃가루 매개 정원과 초지를 도시 곳곳에 연결해 거대한 생태 네트워크를 만들고자 하는 꿈을 가지고 있다.

라트나야케는 프레더릭턴(Fredericton) 식물원의 자원봉사 교육자로도 활동하고 있으며, 생물 다양성을 추구한다고 해서 반드시 미관을 포기할 필요는 없다고 말한다. 그는 잘 정돈된 작은 공간만 있어도 충분하며, 어떤 식물을 어떻게 심고 가꿔야 하는지 시민들에게 교육하고 있다. 그는 프레더릭턴 시가 교차로마다 꽃가루 식물을 심어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자연 보전에 대한 메시지를 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0배너광고_대표_겨울.png

www.koreatimes.net/핫뉴스

박해련 인턴기자 (press3@koreatimes.net)

  • 코데코 록키엘크 녹용 & 공진단
  • 리쏘 (Lisso) 안마의자

댓글을 달아주세요

댓글운영원칙
'댓글'은 기사 및 게시글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온라인 독자들이 있어 건전한 인터넷 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 원칙을 적용합니다.

1. 댓글삭제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 하겠습니다.
  1. 1) 타인에 대한 욕설 또는 비판
  2. 2) 인신공격 또는 명예훼손
  3. 3) 개인정보 유출 또는 사생활 침해
  4. 4) 음란성 내용 또는 음란물 링크
  5. 5) 상업적 광고 또는 사이트/홈피 홍보
  6. 6) 불법정보 유출
  7. 7) 같은 내용의 반복(도배)
  8. 8) 지역감정 조장
  9. 9) 폭력 또는 사행심 조장
  10. 10) 신고가 3번 이상 접수될 경우
  11. 11) 기타 기사 내용과 관계없는 내용

2. 권한제한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 드립니다.

아래의 기사를 추천합니다

기사제목 작성일
“쓰레받기로 처리된 어머니 화장 유골” 01 Jul 2025
포항공대-LG전자 6G기술 선보여 17 Jun 2025
관광공사의 블루어 벽화 훼손 심해 17 Jun 2025
토론토 이번 주말 낮 최고 30도 이상 17 Jun 2025
한국, 성평등 지수 100위 밖으로 17 Jun 2025
잔디 깎지 않기, 생태 회복 첫걸음 17 Jun 2025

카테고리 기사

501a8f29-b7c0-40db-8e91-781491dc2541.jpg
H

태국 ‘승려 성스캔들’에 발칵

17 Jul 2025    0    0    0
adobestock_426964318.jpeg
H

“환불 받으세요”··· 아마존 사칭 사기 기승

17 Jul 2025    0    1    0
20250713215650681.jpg
H

불체자 마구잡이 체포··· 추방은 절반

17 Jul 2025    0    0    0
e0bba353-8ea5-4ebf-8c60-0defc949a9ea.png
H

“독도는 日 영토”

17 Jul 2025    0    0    0
adobestock_1451667452.jpeg
H

높아지는 美 배터리 생산 장벽

17 Jul 2025    0    0    0
a30cd001-e829-48d6-a326-9c7469b6f7f2.jpg
H

“한국은 핵심 시장”

17 Jul 2025    0    0    0


Video AD



오늘의 트윗

mjdokvjm2eyrcitmh7lo5d2msu.jpg
Opinion
부정의 쳇바퀴 영원히 대물림?
29 Jun 2025
0



  • 인기 기사
  • 많이 본 기사

스크린샷 2025-07-12 091741.png
HotNews

캐나다 EV 리베이트 환급 재개

12 Jul 2025
0
스크린샷 2025-07-11 091843.png
HotNews

"생필품 8월 말까지 최저가에"

11 Jul 2025
0
카니.jpg
HotNews

트럼프 "8월부터 캐나다에 상호관세 35%"

11 Jul 2025
0
스크린샷 2025-07-10 132019.png
HotNews

캐나다 공군 사상 첫 여성 사령관 탄생

10 Jul 2025
0
스크린샷 2025-06-26 144113.png
Feature

캐나다, 어쩌면 돈 방석?

25 Jun 2025
0
스크린샷 2025-06-29 112735.png
HotNews

룰루레몬, "코스코가 짝퉁 판매" 소송

29 Jun 2025
0
캐나다 깃발3 언스플래쉬.jpg
HotNews

캐나다 떠나는 국민, 역대 두 번째 많아

03 Jul 2025
0
sbgds.jpeg
CultureSports

2026 세계대학순위 발표

23 Jun 2025
0


500 Sheppard Ave. E. Unit 206 & 305A, North York, ON M2N 6H7
Tel : (416)787-1111
Fax : (416)781-8434
Email : public@koreatimes.net
광고문의(Advertising) : ad@koreatimes.net

캐나다 한국일보

  • 기사제보
  • 온라인지면 보기
  • 핫뉴스
  • 이민·유학
  • 부동산·재정
  • 주간한국
  • 업소록
  • 찾아오시는 길

한인협회

  • 한인문인협회
  • 한인교향악단
  • 한국학교연합회
  • 토론토한인회
  • 한인여성회
  • 한인미술가협회
  • 온주한인실협인협회

공익협회

  • 홍푹정신건강협회
  • 생명의전화
  • 생태희망연대

연관 사이트

  • 토론토총영사관
  • 몬트리올총영사관
  • 벤쿠버총영사관
  • 캐나다한국대사관
  • KOTRA

The Korea Times Daily 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The Korea Times Dail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