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핫뉴스
"美와 무역합의 실패하면 철강 보복관세 조정"
카니 예고...얼마나 통할지는 미지수
-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팀 (public@koreatimes.net)
- Jun 20 2025 09:51 AM
마크 카니 총리는 1개월 안에 미국과 무역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미국산 철강·알루미늄에 부과하고 있는 25% 보복관세를 조정하겠다고 밝혔다.
카니 총리는 19일 기자회견을 열고 "캐나다는 30일 기한이 끝나는 7월21일 미국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부과한 기존 보복관세를 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해밀턴의 철강공장을 둘러보는 마크 카니 총리. 연합뉴스 사진
그는 구체적인 관세율 조정 폭에 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카니의 보복 예고가 얼마나 통할지는 미지수다.
앞뒤 가리지 않는 '묻지마' 스타일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양보할 가능성이 높지 않기 때문이다.
연방정부는 카니 총리 회견 후 낸 성명에서 "7월21일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기존 보복관세를 미국과의 포괄적 무역협정에서 이뤄진 진전 수준에 맞춰 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지난 3월 외국산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지난 4일부터 관세율을 50%로 인상했다.
캐나다는 미국에 철강·알루미늄을 가장 많이 수출하는 나라다. 미 상무부 국제무역청(ITA)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대미 철강 수출액이 가장 많은 나라는 캐나다로 71억4천만 달러(23%)에 달했다.
대미 알루미늄 수출은 캐나다가 지난해 94억2천만 달러(54%)로, 미국 전체 수입량의 과반을 차지했다.
앞서 카니 총리는 지난 16일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에서 양국이 30일 이내에 새로운 경제·안보 협정 체결을 마무리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한편 카니 총리는 이날 회견에서 2024년 수입 물량을 기준치로 하는 관세율 쿼터를 도입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다만,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은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미국 시장에서 밀려난 저가 철강이 대량 유입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에서 자국 철강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차원이다.
철강 업계에선 미국의 관세 인상으로 중국 등 철강 생산국이 다른 수요처를 모색하면서 글로벌 철강시장의 안정성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국은 2014년 한·캐나다 FTA를 체결해 관세율 쿼터 적용 대상에서 제외될 전망이다.
www.koreatimes.net/핫뉴스
캐나다 한국일보 편집팀 (public@koreatime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