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일명 '부품소재 특별법'을 만들어 국산화에 열을 올렸다. 김대중 노무현 정부 시절만 해도 반도체 관련 신기술과 소재부품 및 장비 국산화 연구과제가 봇물을 이뤘다. 이명박 정부에서도 2009년 '신성장동력 장비산업 육성 전략'을 통해 2012년까지 반도체 장비 국산화율을 30%로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을 발표하는 등 의욕적으로 나섰다.
박근혜 정부는 '"반도체는 이미 세계 1위로, 민간에서 알아서 잘 하는데 왜 정부 예산을 투입해야 하나'라는 분위기가 팽배했다"고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전했다.
실제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련 부처에 따르면 2009년 1359억원이었던 정부의 반도체 R&D 예산은 박근혜 정부 출범 이듬해인 2014년 844억원으로 줄었고, 2016년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를 합쳐 250억원 수준으로 급감했다.
댓글을 달아주세요
댓글운영원칙1. 댓글삭제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 하겠습니다.2. 권한제한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