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
가설이란 웬지 모르지만 [1] | JohnKwon | 21.11.10 |
추래 불사추(가을을 머릿속으로 그렸지만 현실은 가을이 아닌듯 하요) [2] | JohnKwon | 21.11.10 |
동네 탐방중 여태껏 보지못한 젤루 조은 가을이 비로소 내눈에 들어와 참가을을 [2] | JohnKwon | 21.11.09 |
신뢰구간 [1] | JohnKwon | 21.11.08 |
Confidence interval 신뢰구간 [4] | JohnKwon | 21.11.08 |
배워서 나무기 주자 [3] | JohnKwon | 21.11.08 |
표준편차 [4] | JohnKwon | 21.11.07 |
국력은 숫자 놀음이 아닌 개별 항목별 산업 생산력 지수 [2] | JohnKwon | 21.11.06 |
파스텔톤의 가을 [2] | JohnKwon | 21.11.05 |
검은것은 수학 부호 흰것은 종인대 강아지는 퍼질러 자내요 [1] | JohnKwon | 21.11.05 |
옥공식 [2] | JohnKwon | 21.11.04 |
독일을 좀 더 일찍 경험했더라면 역사가 달라졌을텐대 [3] | JohnKwon | 21.11.04 |
회계원론 [4] | JohnKwon | 21.11.03 |
폭풍의 언덕 [1] | JohnKwon | 21.11.02 |
오늘은 회계시험 공부 [4] | JohnKwon | 21.11.01 |
가을 한바퀴 [1] | JohnKwon | 21.11.01 |
만추 [4] | JohnKwon | 21.10.31 |
가을은 이미 우리 곁에 왔다 [2] | JohnKwon | 21.10.27 |
이월상품, 신상품, 재고상품 [1] | JohnKwon | 21.10.26 |
그림을 핑계로 헤어지나 [2] | JohnKwon | 21.10.26 |
전체 댓글
JohnKwon ( john.kwon2**@gmail.com )
Nov, 06, 01:26 PM편차는 (자료값)-(평균)이다.예를 들면 A학생 과목별 점수 국어 69 영어70 수학 71 평균 70 (자료값60-평균70=-1)(자료값70-평균70=0)(자료값71-평균70=1) B 학생 과목별 점수 국어50 영어70 수학 90 평균 70 편차는 (자료값50-평균70=-20)(자료값70-평균70=0)(자료값90-평균70=20)음수이든 양수이든 자료가 평균값으로 부터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그 절대값을 알고자 구하는 값이므로 편차가 음수가 되지 않도록 제곱하여 모두 양수가 되게 한다 따라서 A 학생의 표준편차는 -1의 제곱 더하기 0 더하기 1의 제곱/3=1/3 B 학생의경우 -20의 제곱 400 더하기 0 더하기 20의 제곱 합계는 400 토탈 800/3으로써 266.67 제곱해서 과도하게 부풀려진 값을 다시 원래의 차이값이 비슷하게 맞춰주기 위해서는 제곱근을 적용. B의 경우에는 √266.67=16.33 표준편차 제곱근을 적용하기 직전 (편차)^2의 (제곱)평균을 분산이라하고 표준편차를 √(분산)이 된다